'메이플스토리 월드', 크리에이터 행사에 이틀간 누적 6500명 찾아

최종배 2022. 11. 28. 16: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넥슨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메이플스토리 월드'의 크리에이터, 플레이어들과 만나는 첫 오프라인 행사 'MCI22'를 지난 26일, 27일 양일간 개최했다. 

'메이플스토리 월드'의 크리에이터들에게 제작자로서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일반 이용자들 대상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알리고자 기획된 이번 행사에서는 각종 월드를 체험할 수 있는 부스와 플랫폼의 비전을 엿볼 수 있는 쇼케이스 등 각종 프로그램이 이틀 동안 진행됐으며 총 6500여 명이 행사장을 찾았다. 

행사장 중앙에는 광부 시뮬레이터, 픽펫처럼 '메이플스토리 월드'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는 공식 월드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꾸려졌다. 특히 원작 IP와 공식 협업해 선보이는 항아리게임 월드가 현장에서 첫 공개됐으며 부스가 마련되면서 방문객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또, 크리에이터들이 제작한 특색있는 월드, GS25와 멋쟁이사자처럼 등 협업사와의 파트너십으로 제작된 월드를 체험할 수 있는 부스 공간도 마련됐다. 
MCI22 첫째날인 26일에는 '메이플스토리 월드'의 현재와 미래를 소개하는 쇼케이스를 비롯해 외부 전문가의 키노트, 개발자 컨퍼런스 등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발표 세션이 행사장 메인 스테이지에서 열렸다. 쇼케이스에는 김대훤 넥슨 부사장과 신민석 디렉터, 오세형 실장이 무대에 올라 '메이플스토리 월드'가 걸어온 길과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환경 조성을 위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직접 상세하게 설명했다.

신민석 디렉터는 "플랫폼 안에서 원활한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도록 블록코딩, 셰이더, 3D 등 개발 기능을 도입할 것"이라며 "내년에도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각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부 연사가 참여해 '메이플스토리 월드'와 연관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키노트 및 '글로벌 IP로 메이플스토리 월드 게임 만들기' '메이플스토리 월드 EDU의 도전' 등 개발진의 그간 비하인드 스토리를 소개하는 컨퍼런스 세션이 진행되면서 행사장을 찾아온 크리에이터들과 지식, 노하우를 공유했다.
더불어 이번 행사에서는 '메이플스토리 월드' 개발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디벨로퍼 윙스 2022의 최종 시상식과 컨퍼런스, 무박 2일 해커톤이 열리면서 창작자들의 열띤 분위기가 이어졌다. 디벨로퍼 윙스 2022는 개발사들이 '메이플스토리 월드' 내 제작 도구로 참신한 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도록 지원책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이 최종 제출한 월드(콘텐츠) 대상으로 심사를 거쳐 MCI22 둘째날인 27일 최종 수상자가 가려졌다.
디벨로퍼 윙스 2022 대상(상금 1억 원)에는 디앤드컴퍼니의 '쫓쫓숨' 월드, 최우수상(상금 각 5000만 원)에는 컬러플게임즈의 '보스 스토리' 및 캐리의 '메이플 버닝 카니발' 월드가 각각 선정됐다. 이들은 플레이 안정성, 자체 제작 리소스, 멀티플레이 요소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우수상과 특별상 등부문에서도 수상이 이뤄졌다.  
멋쟁이사자차럼과 개최한 메이플스토리 월드 슈퍼 해커톤에는 150개 팀에서 5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참여한 가운데 26일 오후부터 27일 오전까지 무박 2일로 열렸다. 지난 9월 첫 교육 후 개발자와 기획자, 디자이너가 모여 한 팀을 이뤄 시작된 이번 해커톤은 이날 MCI22 현장에서 '메이플스토리 월드'로 제작된 최종 월드(콘텐츠)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총 상금 1500만원 규모로 우수 개발작은 오는 12월 16일 '메이플스토리 월드' 내 가상 시상식을 열고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27일 진행된 에듀케이션 데이에서는 현장 등록을 통해 참여한 220명의 아이들과 청소년이 '메이플스토리 월드' 내 교육용 콘텐츠를 체험하고, 마우스의 구조와 원리를 배우는 마우스 만지작 키트 프로그램에 참가하기도 했다.
 
최종배 jovia@fomos.co.kr
[게임&게이머, 문화를 전합니다. 포모스게임│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포모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