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 집권 후 잊혀진 아프간···굶주림에 장기와 아이까지 팔아

최서은 기자 2022. 11. 28. 16: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벽돌 가마에서 일하고 있는 아프간 소녀. AFP연합뉴스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의 재집권 후 1년 3개월이 지난 아프가니스탄의 주민들이 극심한 기근에 시달리고 있다. 굶주린 아이들을 재우기 위해 약물을 투약하고, 일부는 장기를 매매하며 겨우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고 BBC방송은 27일(현지시간) 전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헤라트 외곽에 사는 주민들 다수는 배고픈 아이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약을 투여하고 있다. 압둘 와합은 “우리 아이들은 계속 울고 잠을 자지 않는다. 우리에겐 음식이 없다”며 “약국에서 알약을 사서 아이들에게 졸음을 느끼게 한다”고 말했다. 이곳의 지역 약국에서는 빵 한 조각 정도의 가격인 10아프가니(약 140원)에 약 5정을 구입할 수 있다.

굴람 하즈라트는 주머니 속에서 알프라졸람(보통 불안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처방되는 진정제)을 꺼내며 “심지어 한 살짜리 막내에게도 이걸 준다”고 말했다.

의사들은 적절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한 어린 아이에게 이러한 약물을 투여하면 만성 피로, 수면·행동 장애와 같은 여러 문제와 함께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러나 헤르트 주민들에게는 별다른 선택지가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8월 탈레반 집권 이후 서방의 제재로 외국 자금이 동결되어 경제가 붕괴됐다. 대다수가 일용직으로 일하고 있는 이곳의 노동자들은 대부분 일자리를 잃었다. 이 때문에 굶주리는 가족을 구하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엔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인도주의적 ‘재앙’이 전개되고 있다고 표현했다.

음식을 사려고 빌린 돈을 갚기 위해 3개월 전 신장 제거 수술을 했다는 20대 A씨는 흉터를 보여주며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며 “우리는 하루 밥을 먹으면 다음 날은 먹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희망이 없다고 느낀다. 이대로 계속되면 죽을 것 같다”고 말했다.

7개월 전에 신장을 팔았다는 한 여성은 그때 받은 돈으로도 생계유지가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이제는 두 살짜리 딸을 팔아야 한다. 돈을 빌려준 사람들이 돈을 갚을 수 없다면 딸을 달라며 매일 우리를 괴롭히고 있다”고 말했다. 그의 남편은 “우리의 상황이 너무 부끄럽다. 가끔은 이렇게 사는 것보다 죽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헤르트 주민 니자무딘은 “나는 다섯 살짜리 딸을 10만아프가니(약 150만원)에 팔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 하즈라툴라는 “음식 살 돈이 없어 모스크에서 딸을 팔고 싶다고 발표했다”고 했다.

헤라트 지방 정부 대변인인 하미둘라 모타와킬은 “이런 상황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국제 제재와 자산 동결 조치의 결과다. 정부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도움이 필요한지 파악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 세계의 관심이 떠난 상황에서 그 누구도 아프간 위기의 실체를 파악하려 하지 않는다고 BBC는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프간 사람들은 탈레반 정부와 국제 사회에서 모두 버림받았다고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최서은 기자 ciel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