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내년 7조2500억 편성…강기정 "버팀목·디딤돌 예산"

박준배 기자 2022. 11. 28. 15: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대비 2441억 증액…가뭄 등 기후위기 선제 대응
강기정 광주시장이 28일 오전 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12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 참석해 2023년도 광주시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 제출에 따른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2022.11.28/뉴스1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는 내년 예산안으로 총 7조2535억원을 편성해 광주시의회에 제출했다. 올해 7조94억원보다 2441억원(3.5%) 증액한 규모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8일 광주시의회 시정연설을 통해 "어려운 상황에서 한정된 재원으로 무엇을 반드시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 원칙과 기준을 깊이 고민했다"며 "위기 경제에 대응하는 민생 예산을 최대한 확보해 '오늘의 위기 대응을 위한 버팀목'이자 '내일의 기회를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안은 오늘의 위기 대응을 위한 '버팀목 예산', 성장과 활력, 돌봄을 중심으로 내일의 기회를 위한 '디딤돌 예산'으로 편성했다.

'버팀목 예산'은 7891억원이다.

정부가 삭감 또는 축소했지만 경제위기 상황에서 시민에게 실질적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상생카드 예산 769억원을 편성하고, 노인 청년 일자리 사업의 정부예산 감소분(93.5억원)을 시비로 추가 반영했다.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을 2500억원으로 확대하고, 중소제조업체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이자 지원도 3%로 늘렸다.

소상공인의 사회보험료와 빛고을론‧미소금융 대출이자 전액을 내년에 신규 지원하는 안전망 예산도 32억원 반영했다.

소상공인 신규채용 인건비, 노란우산공제 등 지역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3고 시대'를 버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가뭄을 향후 기후위기 대비를 위한 중장기 대책 마련의 기회로 삼고자 온실가스감축 인지예산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기후대응도시숲 조성하는데 31억원 등 622억원을 편성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28일 오전 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12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 참석해 2023년도 광주시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 제출에 따른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2022.11.28/뉴스1

'디딤돌 예산'은 2조3003억원이다.

산업을 키워 일자리를 늘리는 '성장'에 1731억원을 반영했다.

AI산업과 기존 주력 산업과의 융합, 반도체 산업 육성과 미래 모빌리티 등 미래 먹거리 신산업, 창업과 기술실증 도전 지원에 적극적으로 투자한다.

AI 집적단지 조성(170억원)과 국산 AI 반도체 시험검증 환경조성(15억원), 반도체산업육성 및 지원(192억원), 자동차 부품기업 역량 강화(7억원), 수평적 전기차 사업 생태계 조성 사업(6억원) 등을 포함했다.

창업성공률이 높은 광주를 만들기 위한 창업테스트베드 실증지원(30억원), 창업기업성장지원센터 건립(95억원) 등에 636억원을 지원한다.

시민이 '활력'있는 삶을 누릴 수 있도록 2815억원을 편성했다.

시는 대한민국 최고 수준의 복합쇼핑몰을 시작으로 광주에 새로운 재미와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인프라와 스토리를 구축해 '도시이용인구 3000만명 시대'를 열겠다는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충장축제, 버스커즈 월드컵 등 지역 대표축제 육성(20억원)과 빛의 로드 도심 심야 관광 활성화(35억원)를 위한 예산을 마련했다.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373억원, 시민들이 고르게 문화와 체육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통합문화체육관광이용권 사업에도 109억원을 지원한다.

작지만 청년의 미래를 위한 광주형 청년갭이어 지원 예산(2억원), 새로운 번영과 풍요의 상징이 될 영산강·황룡강변 Y벨트 익사이팅 사업 예산(3000만원)도 반영했다.

생애주기별 두터운 '돌봄'을 위해 1조8456억원을 편성했다.

시는 '광주다움 통합돌봄'을 민선 8기 광주를 대표하는 복지 브랜드로 키워 돌봄 걱정 없는 광주를 만들어 나간다는 전략이다.

내년 4월부터는 영유아, 아동·청소년, 노인, 장애인, 1인 가구 등 돌봄이 필요한 광주시민이라면 누구나 한 번의 신청만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예산 78억원을 반영했다.

체계적인 농민수당 지급 준비(1억5000만원)를 시작으로 3대 공익가치수당을 차질 없이 추진한다.

노인일자리와 사회활동 지원에 1052억원,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에도 271억원을 편성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시와 시의회는 '광주시민의 행복'을 이끌어가는 두 바퀴"라며 "시의회와 시가 '개혁의 동반자'로서 큰 경제위기를 넘어 활력과 역동이 넘치는 기회도시 광주를 만들기 위해 함께 손잡고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nofatejb@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