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5일째...인천항 컨테이너 반출입량 94% 줄어

고석태 기자 2022. 11. 28. 14: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의 총파업 5일째인 28일 인천항 화물 컨네이너 반출입량이 파업 이전보다 크게 감소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총파업 닷새째인 28일 오전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앞에서 화물연대 노조원들이 선전전을 벌이고 있다. /뉴시스

28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전날 오전 10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루 화물 반출입량은 775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로 집계됐다. 이는 파업 이전인 지난달의 하루 평균 반출입량 1만3000TEU보다 94% 감소한 수준이다.

인천항 컨테이너터미널 장치장의 포화 정도를 의미하는 장치율은 73.41%로 비교적 안정적이다. 인천해수청과 인천항만공사(IPA)는 화물연대의 파업에 대비해 인천신항 배후단지 등 5곳에 43만2100㎡의 임시장치장을 마련했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사전에 미리 대책을 마련한 덕분에 아직까지는 항만 운영이 어려운 상황은 아니다”면서도 “파업이 장기화하면 장치율에도 영향이 미쳐 항만 운영이 힘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인천에서는 아직 노조와 경찰 사이에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인천경찰청은 기동대 4개 중대 280명과 3개 경찰서 소속 경찰관 140명을 인천 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등 8곳에 배치해 비가입 차량의 출입을 방해하거나. 화물차를 망가뜨리는 행위, 인천항 시설점거 등 불법행위에 대비하고 있다.

화물연대 인천지역본부는 이번 파업에 전체 조합원 1800여명 중 80%에 가까운 140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