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릿대·밀짚 등 농촌 불법소각 막았더니 미세먼지 줄었다”

김기범 기자 2022. 11. 28. 11: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6월과 올해 6월 전북 지역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생물성 연소의 지표물질인 유기탄소, 원소탄소, 포타슘(칼륨) 농도 비교. 국립환경과학원 제공,

농촌 지역에서 보릿대·밀짚 등의 불법 소각을 막자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의 대기오염물질 측정 결과를 분석한 결과 보릿대·밀짚 등 영농부산물 불법소각을 막는 정책이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전북도와 전북지방환경청은 제3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한 2021년 12월에서 지난 3월과 보릿대 수확기인 지난 6월 농가가 영농부산물을 불법적으로 소각하지 않도록 단속을 벌였다.

영농부산물 불법소각은 농촌지역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농촌에서는 매해 추수가 끝나는 10월, 농사가 시작되는 3월, 보리 수확기 직후인 6월 등에 영농 잔재물을 불법소각하는 사례가 많다.

환경과학원과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가 지난 6월 전북 지역의 미세먼지(PM10)·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각각 27㎍/㎥와 16㎍/㎥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같은 시기에 비해 37.5%와 41.2% 감소한 수치다. 특히 영농부산물 등 생물성 물질을 연소할 때 나오는 유기탄소, 원소탄소, 포타슘(칼륨) 등 물질의 감소율은 74~80%에 달했다. 원소탄소는 자동차 연료 등 화석연료 연소 시 직접 배출되는 오염물질이다.

환경과학원이 초미세먼지의 배출원을 분류하고, 배출원이 농도에 미치는 기여도를 추정할 때 사용하는 컴퓨터 모델에서도 지난 6월 생물성 연소의 기여도는 6%로 지난해 6월(18%)보다 12%포인트 감소했다. 환경과학원은 전북 지역의 평균 강수량과 강수일수 증가, 대기 정체일수(평균 풍속이 초속 2m 이하인 날)가 줄어든 것 등도 미세먼지 농도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