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론바이오, PDRN 캡슐화된 나노 입자 포함된 나노필름 제조 방법 특허 등록

김동호 기자 2022. 11. 28. 10: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PDRN(polydeoxyribonucleotide) 기반 의약품 전문기업 제론바이오가 PDRN이 캡슐화된 키토산 나노 입자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

제론바이오(대표이사 김덕규)는 'PDRN이 캡슐화된 키토산 나노 입자가 포함된 키토산 나노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처피복제·욕창치료제·화상·아토피 등 다양한 분야에 전문의약품 적용 가능
<사진설명>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키토산 필름(Chitosan film), 키토산 나노필름(CNP film), PDRN 함유 키토산 나노필름 (PDRN-CN-film)에 48시간 동안 노출 후 밀도(B)와 세포 생존능력(C) 측정 결과, PDRN을 함유한 키토산 나노필름의 경우 두 가지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냄
[서울경제] PDRN(polydeoxyribonucleotide) 기반 의약품 전문기업 제론바이오가 PDRN이 캡슐화된 키토산 나노 입자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

제론바이오(대표이사 김덕규)는 ‘PDRN이 캡슐화된 키토산 나노 입자가 포함된 키토산 나노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

키토산(Chitosan)은 ‘키틴(Chitin)’의 탈아세틸화를 통해 제작될 수 있는 천연 생체 고분자 물질로, ‘폴리-베타-1,4-글루코사민(poly-β-1,4-glucosamine)’이라는 명칭을 가지는 ‘D-글루코사민’과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임의적으로 분포하는 양이온 선형 다당류다.

키토산의 일 유도체인 ‘키토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Chitosan hydrochloride)’는 강한 양이온성 키토산의 수용성 유도체이며 생체 적합성, 양전하, 접착 및 생물 분해성과 같은 약물 전달에 유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PDRN은 세포의 증식과 재생을 촉진하는 세포 성장 자극제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인간의 태반, 송어 및 연어의 정자나 정소에서 추출된다.

이번 특허에 따르면 키토산에 고정화된 PDRN은 생체 내에서 안정하게 보호될 수 있는 키토산 나노필름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키토산 나노필름은 생체 친화적인 물질로 생체 내에 적용되는 의약품 및 화장품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론바이오 관계자는 “키토산 나노필름은 우수한 세포 증식 및 세포 이동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며 “상처 치유용 의약품, 의료기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해당 나노필름은 인체에 자연스럽게 흡수가 돼 떼었다 붙였다 할 필요가 없다”며 “상처피복제, 욕창치료제, 화상치료제, 아토피치료제 등 다양한 치료의약품에 적용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