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설주 빼닮은 '김정은 딸' 또 전면에… '백두혈통' 띄우기 혈안

정준기 입력 2022. 11. 27. 19: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화성-17형 발사 현장 이어 기념촬영 동행
'존귀한 자제' 극존칭, 김정은 가계 우상화
'미래 세대 안전' 강조… 핵무력 결산 관측
후계자는 "치밀 준비" "아들 지켜봐야" 갈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8일 있었던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7형 발사에 참여했던 공로자들과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 통신은 이번 기념촬영에 김 위원장 딸이 동행했다며 함께 찍은 사진들을 공개했다. 평양=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또다시 '딸'과 함께 등장했다. 김 위원장 옆에서 거리낌없이 장군들과 악수하며 군중의 박수를 받는 앳된 아이를 북한 매체는 극존칭으로 예우했다. 김 위원장 못지않게 딸에 대한 충성을 강조한 것이다.

노동신문은 27일 화성-17형 개발·발사 공로자들의 기념촬영 소식을 전하며 김 위원장과 딸이 행사장을 누비는 장면이 담긴 사진들을 공개했다. 18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발사현장에 이어 김 위원장 부녀의 두 번째 공개 행보다. 국가정보원은 김 위원장 딸을 둘째인 김주애로 판단하고 있다.


'존귀한 자제'… "백두혈통만 따를 것" 맹세도

18일 첫 등장 때 김 위원장 딸은 흰색 패딩점퍼 차림의 영락없는 어린아이였다. 반면 이번에는 모친 리설주와 꼭 빼닮은 스타일로 검은 코트를 입고 머리를 매만진 모습이었다. 대장으로 승진한 장창하 국방과학원장이 고개 숙여 악수할 때는 위엄을 과시하려는 듯 허리를 꼿꼿이 세웠다. 북한 매체들의 호칭도 앞서 "사랑하는 자제분"에서 이번에는 "존귀하신 자제분"으로 확연히 달라졌다.

조선중앙TV가 27일 보도한 화성-17형 관련 기념사진 촬영 행사에서 허리를 꼿꼿이 세운 김정은 국무위원장 딸이 고개를 숙인 장창하 국방과학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조선중앙TV 캡처 연합뉴스

이 같은 연출은 모두 북한 로열패밀리인 '백두혈통'의 무게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앞에 형용사가 붙는 건 백두혈통의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3대 세습을 거치는 동안 '위대한 김일성', '위대한 김정일', '경애하는 김정은' 같은 수식어가 달렸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존귀하는'이라는 형용사 또한 김정은 가계 우상화의 본격화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화성-17형 개발·발사에 기여한 이들이 '당중앙에 드리는 충성과 신념의 맹세' 결의를 통해 "백두의 혈통만을 따르고 끝까지 충실할 것"이라고 다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미래 세대 안전' 고리로 핵무력 노선 강조

'어린 딸'의 이미지를 부각시켜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못 박으려는 노림수도 깔려 있다. 실제 김 위원장은 행사에서 "제일 강자가 될 때라야만 나라와 민족의 현재와 미래를 지켜낼 수 있다"며 "국방력 강화의 무한대함을 향해 계속 박차를 가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미래 세대 안전을 위한 국방력 강화기조의 지속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이번 화성-17형 ICBM을 "최종시험발사에서 완전 대성공했다"고 평가했다. 동시에 화성-17형 이동식발사차량(TEL)에는 극히 이례적으로 '영웅 칭호'를 내렸다. 외부 압박에 맞서 김 위원장 딸과 북한의 미래를 지킬 무기인 만큼 융숭하게 대접하며 의미를 잔뜩 부여한 셈이다.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7형 공로자 기념촬영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자신의 딸 및 공로자들과 화성-17형 앞에 서 있다. 평양=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후계구도 조기 정립?... 분위기 조성용 '연막' 관측도

김 위원장 딸이 연달아 전면에 등장하면서 북한 '후계 구도'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존귀하신'과 같은 존칭을 사용한 것은 매우 파격적"이라며 "아들이 아닌 딸을 4대 지도자로 내세우는 것에 대해 김 위원장도 부담을 느낄 수 있어 그에 대한 충성심이 딸에까지 이어지도록 치밀하게 준비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다만 △김 위원장이 세 자녀를 뒀고 △특히 첫째가 아들로 알려진 점 △후계자로 보기엔 너무 어려 공개시점이 지나치게 이르다는 점에서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국정원은 북한이 의도적으로 노출한 김 위원장 딸을 2013년생으로 파악하고 있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첫째 아들에 문제가 있거나 기존 정보가 틀렸을 가능성은 있다"면서도 "둘째 딸을 시작으로 이후 후계자에 어울리는 형용사를 붙이며 점차 아들을 내세울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딸을 내세운 건 '분위기 조성용'이라는 것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자식 동반으로 '사회주의 대가정(수령·당·인민의 관계를 아버지, 어머니, 자녀의 관계와 같다고 보는 개념)'론에 입각한 결속 효과를 노린 것"이라며 "딸이 초점이라기보다 주민들을 안심시키려는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정준기 기자 jo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