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된 DNA 복구하는 단백질…“악성 암 발생 막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연구진이 악성암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손상된 DNA의 복구 활성을 조절하고 염색체를 안정화시키는 세포 내 방어 시스템의 원리를 찾았다.
한국연구재단은 조선대학교 유호진 교수 연구팀이 세포 내 CtIP 단백질이 손상된 DNA의 말단을 정확하게 절제해 DNA 복구를 촉진하고, DNA의 집합체인 게놈을 안정화 시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연구진이 악성암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손상된 DNA의 복구 활성을 조절하고 염색체를 안정화시키는 세포 내 방어 시스템의 원리를 찾았다.
한국연구재단은 조선대학교 유호진 교수 연구팀이 세포 내 CtIP 단백질이 손상된 DNA의 말단을 정확하게 절제해 DNA 복구를 촉진하고, DNA의 집합체인 게놈을 안정화 시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염색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DNA 복구시스템의 원리 규명은 악성암 극복의 핵심 열쇠로 꼽힌다. 세포가 분열 과정에서 발생한 DNA 손상을 회복하지 못하고 불완전한 유전자 정보를 딸세포에 물려주면, 다양한 돌연변이를 지닌 암세포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생명현상의 본질 탐구 노력이 확산됨에 따라, 암세포의 빠른 분열로 인해 DNA가 손상되면 세포 내 단백질들이 이를 인지하고 신호를 활성화해 염색체 안정성 유지에 관여함이 밝혀졌다.
하지만 아직까지 손상된 DNA를 정교하게 절제해 돌연변이 발생을 최소화하고 염색체를 안정화시키는 정확한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 없다.
연구팀은 DNA 복구에 관여하는 CtIP 단백질이 세포내 효소 단백질 SIAH2에 의해 변형된 후 손상된 DNA의 이중나선 말단 부위로 이동해 DNA 복구를 촉진하고, 정상적으로 복제가 진행되도록 역할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DNA 복구 조절 실험을 통해 DNA가 손상되면 CtIP 단백질이 SIAH2에 의해 변형된 다음, 손상된 DNA 말단을 정교하게 처리해 돌연변이 발생 없이 DNA를 복구시켜 염색체를 안정화함을 밝혔다.
한편 DNA 손상이 심하면 DNA 복제가 정지되는 복제 스트레스가 발생해 악성암의 원인이 된다. 연구팀은 복제 스트레스 발생 시 SIAH2와 CtIP가 결합해 CtIP 단백질이 변형되고 복제 스트레스를 정상으로 회복시켜 돌연변이 발생을 억제함을 확인했다.
유호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악성암 발생의 주요 원인인 염색체 불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전략 마련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며 “DNA 복구 활성 조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악성암 극복을 위해 후속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사업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뉴클레익 액시드 리서치’ 10월 14일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코인으로 돈 다 날린 ‘이 남자’ 울린 ‘충격의 말’, 뭐길래?
- “막내아들 덕분에 1주일새 1천만원 벌었다” 시끌벅적 ‘돈벌이’ 알고보니
- “이 나이에 1200억원 잭팟” 너무 부러운 20대 청년, 누구길래
- 시드니 해변서 2500명 누드 촬영…무슨일?
- 호날두, 바지 속 손 넣은 뒤 입으로 ‘쏙’…팬들 “도대체 뭘 꺼낸거야?”
- “유재석 간판 예능이 왜?” 칼 빼든 방심위, 무슨 일
- 中, 월드컵 본선행 실패 前 국대감독 숙청
- “이젠 세끼 대신 두끼가 대세?”…확 달라진 ‘끼니 전쟁’ [식탐]
- “너무 뚱뚱해서”…비행기 탑승 거부 당한 30대 여성
- “재건축 확정됐다”며 페인트 다시 칠했던 은마아파트…뜬금 과태료 처분 왜?[부동산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