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1년’…하위변이만 수백개, 백신·치료법 개발 난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중 하나인 '오미크론'이 등장한 지 1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발생 원인과 하위 변이 등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6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11월 26일 코로나19 새 변종인 B.1.1.529(BA.1)가 아프리카 남부에서 출현했다고 확인하며, 이를 오미크론(Omicron)으로 정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중 하나인 ‘오미크론’이 등장한 지 1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발생 원인과 하위 변이 등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6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11월 26일 코로나19 새 변종인 B.1.1.529(BA.1)가 아프리카 남부에서 출현했다고 확인하며, 이를 오미크론(Omicron)으로 정했다. 오미크론은 그리스 알파벳의 15번째 글자에서 따왔다.
오미크론의 출현 과정은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면역체계에 이상 있는 환자가 코로나19에 걸린 뒤 투병하는 과정에서 생겨났을 것이라는 가설이 과학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지난 10월 미국 미네소타대 연구진은 초창기 코로나바이러스 중 일부가 생쥐에게 옮겨 갔고, 여기서 오미크론으로 진화해 인간에게 전달됐다고 추정하기도 했다.
오미크론은 발견 즉시 ‘우려 변이’(variant of concern)로 분류됐다.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인 BA.2, BA.5 등은 초기 바이러스인 BA.1 감염에서 생성된 항체도 회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출현 이후 세계적인 우세종으로 자리를 잡았고, 코로나19 확진자도 급증하기 시작했다.
이른 시간 내 하위변이도 다양하게 생겨났다. 확인된 하위변이만 수백개로, 새로운 백신과 치료법을 내놓는데도 애를 먹고 있다.
변이를 거듭할수록 코로나19를 이겨낼 수 있는 기존 항체에 대한 내성도 단단해진다. 다만 오미크론 변이의 경우 초기와 비교해 치명률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고 NYT는 분석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삼성전자, P2·P3 파운드리 라인 추가 ‘셧다운’ 추진… 적자 축소 총력
- “트럼프 수혜주”… 10월 韓증시서 4조원 던진 외국인, 방산·조선은 담았다
- [과학영재교육 갈림길]② “의대 가려고 과학고 조기 졸업, KAIST가 거부한다”
- 가는 족족 공모가 깨지는데... “제값 받겠다”며 토스도 미국행
- 오뚜기, 25년 라면과자 ‘뿌셔뿌셔’ 라인업 강화… ‘열뿌셔뿌셔’ 매운맛 나온다
- [인터뷰] 와이브레인 “전자약 병용요법 시대 온다… 치매·불면증도 치료”
- ‘꿈의 약’ 위고비는 생활 습관 고칠 좋은 기회... “단백질 식단·근력 운동 필요”
- 위기의 스타벅스, 재택근무 줄이고 우유 변경 무료 나섰다
- “원금 2.6배로 불려 평생 연금 드립니다” 460억대 불법 다단계 적발
- ‘위스키·하이볼 다음은 브랜디?’... 종합주류기업 격전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