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룹’ 해결사 김혜수의 가치

박아름 2022. 11. 27. 11: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배우 김혜수가 설득력 있는 연기로 '슈룹'의 인기를 이끌고 있다.

지난 11월 26일 방송된 tvN 토일드라마 '슈룹'(극본 박바라/연출 김형식)에서는 세자(배인혁 분)의 죽음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파헤치는 화령(김혜수 분)의 모습이 담겼다.

화령은 권의관(김재범 분)과 토지선생(권해효 분)이 내통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세자의 죽음에 두 사람이 관련돼 있음을 확신했다.

화령은 "내게 세자를 죽인 독을 가져오게 만들 것"이라며 의지를 불태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엔 박아름 기자]

배우 김혜수가 설득력 있는 연기로 '슈룹'의 인기를 이끌고 있다.

지난 11월 26일 방송된 tvN 토일드라마 ‘슈룹’(극본 박바라/연출 김형식)에서는 세자(배인혁 분)의 죽음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파헤치는 화령(김혜수 분)의 모습이 담겼다.

화령은 권의관(김재범 분)과 토지선생(권해효 분)이 내통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세자의 죽음에 두 사람이 관련돼 있음을 확신했다. 화령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빠른 두뇌 회전과 넘치는 기지로 해결사 역할을 하며 진실을 향해 또 한 발 내딛었다.

이날 화령은 권의관을 궁으로 다시 불러들였다. ‘권의관이 기문혈에 시침하기 시작한 이후 토혈이 시작됐다. 갈비뼈 부근의 통증도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내용이 담긴 세자(배인혁 분)의 일기를 뒤늦게 손에 넣은 후 권의관을 가장 유력한 살해 용의자로 용의선 상에 올렸다. 화령은 “내게 세자를 죽인 독을 가져오게 만들 것”이라며 의지를 불태웠다.

이 가운데 화령은 어의 유상욱의 처방전을 입수했는데 놀랍게도 토지선생의 처방전과 일치했다. 유상욱은 과거 세자와 같은 질환인 혈허궐로 세상을 떠난 태인세자의 치료를 도왔던 인물. 따라서 두 사람이 동일인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화령은 토지선생과 권의관이 내통하고 있을 것이라는 확신 하에 동시에 두 사람의 관계를 파악할 덫을 놓았다. 그러나 토지선생과 권의관 역시 화령의 움직임을 눈치채고 있던 터. 이들 역시 화령을 이용하기로 했고 양 측 간 피 말리는 머리 싸움이 시작됐다. 화령은 “스스로 덫에 걸려든 걸 보면 위험을 감수해서라도 내게 얻어내야만 하는 뭔가가 있다는 것”이라며 음모를 파헤치겠다는 의지를 확고히 했다.

화령 역시 조용할 날이 없었다. 초월이 무안대군(윤상현 분)의 아이를 안고 궁으로 찾아오면서 예상 못한 육아 라이프가 시작된 것. 화령은 노련하게 아기를 돌보면서도 철부지 무안대군의 기강을 바로잡으며 유쾌함을 선사했다.

매회 숨막히는 연기를 선보인 김혜수는 이번에도 역시 화령 캐릭터를 자신만의 호흡으로 이끌어 가며 흡인력 넘치는 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대비 역 김해숙뿐 아니라 김의성, 권해효, 김재범 등 여러 캐릭터와 첨예한 대립을 오가며 작품에 팽팽한 긴장감을 선사하고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세자의 죽음의 진실을 파헤치는 냉정함, 철부지 대군들을 감싸 안은 따스함, 여기에 극 중 중간중간 선사하는 유쾌함까지 균형 있는 감정 연기로 ‘역시 김혜수’라는 찬사를 이끌어내고 있다.

화령이 승기를 잡고 해피엔딩을 맞을 수 있을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시청률 조사회사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이날 방송은 전국 가구 기준 12.9%, 최고 14.2% 시청률을 기록했다. (케이블, IPTV, 위성 통합한 유료플랫폼 기준) (사진=tvN 제공)

뉴스엔 박아름 jamie@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