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서 ‘슬픔의 저항’ 손기정, 차별 반대 퍼포먼스 원조

2022. 11. 26.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일 체육철학자 대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가운데)과 3위 남승룡이 시상대에서 침통한 표정을 짓고 있다. [중앙포토]
‘평전 손기정’(評傳 孫基禎·2019)의 저자인 데라시마 젠이치(寺島善一) 메이지대 명예교수가 이 책을 번역한 도서출판 귀거래사(대표 김연빈) 초청으로 방한했다. 데라시마 교수는 22일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에서 ‘손기정에서 오사카 나오미까지-스포츠와 평화·인권·행동의 연쇄’를 주제로 강연했다.

한·일 양국에서 손기정 관련 자료를 가장 많이 갖고 있는 데라시마 교수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시상식에서 손기정이 보인 태도가 미국의 블랙 파워 설루트(Black Power Salute)를 비롯한 스포츠계 차별반대 퍼포먼스의 기원”이라고 말했다.

강연 후 체육철학자인 김정효 서울대 교수가 데라시마 교수와 강의 주제를 토대로 대담을 나눴고 핵심 내용을 김 교수가 정리했다.

스포츠 존재 이유는 ‘경쟁을 통한 평화’

‘손기정 대담’을 나눈 데라시마 교수(오른쪽)와 김정효 교수. 정준희 기자
김정효 : 저는 손기정을 민족주의 관점에서만 조망하는 것에 얼마간 거부감을 가집니다. 나라를 잃은 슬픔에 앞서 조선의 청년으로서 인간적인 고뇌와 아픔, 기테이 손(Kitei Son:손기정의 일본식 이름)으로 살아야 했던 부끄러움과 슬픔에 먼저 주목해야 한다고 봅니다. 베를린 올림픽 시상식에서 보인 손기정과 남승룡(동메달)의 모습은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습니까?
1968년 멕시코 올림픽 육상 200m 우승자 토미 스미스(미국·사진 가운데)가 인종차별에 항의하며 검은 장갑을 낀 오른손을 들고 있다. [중앙포토]
데라시마 : 이번에 한국에 온 것도 손기정의 시상식 사진 때문이라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저는 그 사진에서 평화주의자 손기정을 보았습니다. 일장기가 올라가고 기미가요가 울릴 때 그는 고개를 숙인 채 매우 슬픈 표정을 짓습니다. 이는 또 다른 형태의 저항을 드러낸 것입니다. 그 후 손기정과 남승룡의 퍼포먼스는 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1968년 멕시코 올림픽 육상 남자 200m에서 토미 스미스(금메달)와 존 카를로스(동메달)가 보인 퍼포먼스도 손기정의 시상식 모습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었습니다. 이는 그들이 직접 밝힌 내용입니다. 고개를 숙인 채 검은 장갑을 낀 손을 들어 올려 인종차별에 항거했던 침울한 표정과 자세에서 손기정과 남승룡의 모습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김정효 : 손기정과 남승룡의 퍼포먼스에서 미학을 발견한 사람도 있습니다. 베를린 올림픽 기록영화를 감독한 리펜슈탈(L. Ridfenstahl)은 “일본 선수들의 시상식은 감동적이었다. 그들은 월계관을 쓴 머리를 숙이고 종교적인 희열에 빠진 것 같은 모습으로 자국 국가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라고 당시 장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승의 기쁨마저 극도로 절제하는 동양인 선수의 표정에서 종교적 희열을 끌어낸 감수성이 미학적이기는 하지만 손기정의 마음을 전혀 읽지 못한 것이었습니다. ‘슬픔의 저항’으로 표현할 수 있는 그의 메시지가 매우 보편적이어서 오늘날에도 큰 진폭을 갖지 않나 생각합니다.

데라시마 : 맞아요. 그런 저항의 정신이 아이티계 일본인 테니스 선수 오사카 나오미(전 세계랭킹 1위)에게도 전해졌습니다. 인종적 편견과 차별에 맞선 그의 말과 행동은 손기정의 시상식 장면에서 시작된 흐름이라고 볼 수 있거든요. 요컨대 손기정은 올림픽에서 저항적 퍼포먼스를 시작한 원점이라고 볼 수 있고, 그것이 올림피언 손기정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라는 생각이 들어요.

지난 21일 카타르 월드컵 이란과의 경기에 앞서 잉글랜드 선수들이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뜻으로 무릎을 꿇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중앙포토]
김정효 : 이번 카타르 월드컵에서 잉글랜드 대표팀이 경기 전 무릎을 꿇어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의사를 표현한 것도 스포츠를 통한 평화의 메시지를 보내는 일이죠. 올림픽헌장 50조에는 ‘올림픽이 열리는 경기장 또는 기타 지역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시위나 정치, 종교 또는 인종 관련 선전 선동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저는 여기에서 인종차별 부분은 제외돼야 한다고 믿습니다. 차별에 대한 저항은 인간의 기본권에 대한 요구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보편적인 가치를 옹호하는 스포츠 선수의 짧은 저항적 메시지는 올림픽·월드컵 등 메가 스포츠 이벤트를 통해 더 자주 등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데라시마 : 그게 올림픽 정신에 더욱 합당하지요. 내가 손기정에 주목한 이유도 그의 퍼포먼스가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의 정신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남의 나라를 강제로 통합해 착취하고 피지배인의 신체마저 식민지 본국을 위해 이용하는 제국주의는 결코 용납될 수 없습니다. 손기정은 그 부당함을 온몸으로 표현한 것이지요.

김정효 : 스포츠가 인류에게 필요한 이유도 경쟁을 통한 평화입니다. 손기정을 기리는 마라톤 대회의 이름이 ‘손기정 평화마라톤’인 이유도 거기 있을 겁니다. 스포츠와 평화에 대한 교수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지구환경 보호 메시지 내는 것도 좋아

2020년 US오픈 테니스에서 미국 인종차별 희생자의 이름을 새긴 7개의 마스크를 매일 갈아 끼고 나온 오사카 나오미. [AP=연합뉴스]
데라시마 : ‘블랙 파워 설루트’를 일종의 정치행위로 보고 올림피즘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비판하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올림피즘에 위반되는 행위인지 아닌지를 정하는 주체는 사람입니다. 올림피즘이 인간의 보편적 권리 위에 군림할 수 없습니다.

김정효 : 2020년 미국에서 비무장 흑인 조지 플로이드가 백인 경찰의 가혹행위로 목숨을 잃으면서 촉발된 ‘블랙 라이브즈 매터(black lives matter)’운동은 이제 유럽 프로축구에서는 경기 전 당연한 퍼포먼스처럼 여겨집니다. 이를 통해 인권 문제를 환기하고 행동을 이끌어 내는 건 스포츠가 가진 파워라고 생각합니다.

데라시마 : 오사카 나오미가 마스크에 인종차별 희생자 이름을 새긴 자체만으로 큰 저항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한 것이기도 하지만 스포츠에서 발견할 수 있는 또 다른 긍정적인 가치입니다. 그 행위의 기점에 손기정이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김정효 : 맞습니다. 스포츠가 신체적 퍼포먼스를 넘어 인간의 보편적인 가치를 전달하는 매개가 된다면 앞으로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서 이런 행위는 금지하지 말아야 합니다. 개인적인 바람은 지구의 환경운동을 위한 작은 퍼포먼스가 등장해도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데라시마 : 아주 좋은 의견입니다. 스포츠를 통한 평화! 그것이 손기정 정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간의 차별에 대한 저항은 손기정에서 시작되어 지금까지도 여전히 바통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스포츠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려는 움직임은 손기정에서 시작해 ‘블랙 파워 설루트’를 거쳐 오사카 나오미까지 면면히 흐르고 있습니다.

■ 손기정 친일 연설은 총독부·경찰 협박 때문…“가장 처참한 일”

「 대담 말미에 김정효 교수가 손기정의 친일 행적에 대한 질문을 했다. 태평양전쟁 당시 어린 학생들에게 ‘학도의용병’으로 나갈 것을 독려하는 연설을 했다는 점이다. 이 질문에 데라시마 교수는 당혹스러워 하는 눈치였다. 약간 톤이 올라가면서 단호한 어조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역사적 상황이나 조건을 보지 않고 행위만 평가하면 손기정에게 그보다 불쌍한 일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조선총독부가 등 뒤에서 총을 겨누고 연설을 종용하는데 어찌 아니 할 수 있었겠습니까. 그때 손기정은 조선총독부와 경찰에 철저히 이용당한 겁니다. 생전에 함께 식사하는 자리에서 손기정은 저에게 “내 인생에서 가장 힘들고 처참한 일이 학생들 앞에서의 연설이었다”고 말했습니다.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일본의 영광을 위해 손기정이 그런 연설에 동원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일본의 니혼TV는 면밀한 취재 끝에 손기정의 연설이 총독부와 경찰의 협박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고증하였습니다. 그것은 손기정의 정신과 아무런 연관이 없습니다. 그는 일본 제국주의의 가장 큰 피해자였습니다.

김정효 서울대 교수(체육철학)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