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아직은 수줍게 노크하는 신춘문예

2022. 11. 25. 22:3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예비 작가들 바짝 긴장하는 시기
문학 앞에서는 한없이 몸 낮춰
투고작들 최고로 신선한 가능성
목소리 내기 시작하게 큰 도전

참 많은 사람들이 문을 두드린다. 누군가 문을 밀고 나와 반갑게 맞아줄 것 같은 기대를 갖고…. 그러나 신춘문예! 이 문은 좀처럼 열리지 않는다. 문지방이 이미 닳았지만 문을 두드리는 손끝은 늘 수줍다. 바짝 긴장해서 안쪽에서 들리는 기척에 귀 기울인다. 조용하다. 큰 기침 소리라도 한 번 듣고 싶은 간절한 심정이다. 그게 바로 최종심에 거론되는 것이다. 자신의 작품이 처음으로 최종심에서 언급되면 당선보다 더 감동한다. 좀은 당당해지고 좀은 명랑해지지만 막상 또 새로 투고할 때가 되면 예전보다 더욱 긴장한다.

기형도 시인은 당선 소식을 받고 “내 뒤에 있는 캄캄하고 필연적인 모종의 힘에 떠밀려 나는 복도로 걸어나가 차가운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한참 동안 서 있었다”고 했다. 몇 해 동안의 투고 과정을 거쳤지만 꽃망울이 터지고 꽃잎이 막상 펼쳐지면 당황하기 마련이다. 눈이 내리는 창(窓)에 이마를 댔을 그때의 시인은 문학의 냉기를 미리 예감했으리라. 그렇지만 “좀처럼 열릴 것 같지 않던 문의 열쇠를 쥐게”(기형도 당선 소감 중) 되었으니 문단과의 접견을 허락받은 기쁨도 무척 컸으리라.
천수호 시인
2023년 신춘문예 공모가 한창이다. 예비 작가들이 바짝 긴장하는 시기다. 나도 그런 적이 있었다. 내가 2003년도 신춘문예에 당선했으니, 문학의 문을 열고 들어온 지 딱 스무해가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신춘 공모가 뜨면 가슴이 두근거린다. 문예창작과 학생이 바쁘게 원고를 정리하는 모습, 늦깎이 응모자가 여러 해 동안의 당선작을 분석하는 모습이 예전의 내 모습과 똑같다. 각 신문사의 당선작을 펼쳐놓고 심사위원의 성향까지 따져보면서 내 작품에 손을 들어줄 은인이 있을까 살핀다. 처음 투고하는 어린 문청도 있고 해마다 정성스레 원고를 묶는 사람도 있다. 나이가 들수록 수줍음이 사라진다지만 문학 앞에서는 한없이 몸을 낮추고 수줍어한다. 고령자는 당선자로 선택받을 확률이 낮다는 말이 떠돌아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신춘문예 심사를 하면서 문학에 대한 이런 열정과 진심을 읽었다. 이 절실한 작품들을 읽고 있으면 원고를 쉽게 넘기지 못한다. 한 장 한 장마다 손수 삽화를 그려 넣은 것도 있고, 시집 한 권 분량을 묶은 원고도 있다. 원고지에 손글씨로 또박또박 쓰기도 하고 초등학생이 투고하는 경우도 있다. 심사자의 눈길을 좀 더 강하게 붙잡기 위해 글씨체를 독특하게 한 것도 있고, 간절한 편지가 끼워져 있는 경우도 있다. 창백한 A4용지에 피가 도는 느낌이 들어 심사자는 그 원고를 함부로 다루지 못한다. 눈동자는 빠르게 움직이고 활자를 뚫어지게 들여다본다. 한 사람의 가능성을 처음 읽는 기쁨은 벅차고 행복하다. 모든 투고작은 최고로 신선한 가능성인 것이다.

짐 자무시 감독의 영화 ‘패터슨’은 버스 운전사가 생활 속에서 시를 쓰는 모습을 보여준다. 지루할 정도로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누구도 읽지 않는 시를 쓴다. 문득 눈앞에 보이는 사물과 대화하며 우리 모두가 시를 쓰는 사람일 수 있게 만들어주는 영화다. 그 영화 속의 대화 중에 이런 것이 있다. “때론 텅 빈 페이지가 가장 많은 가능성을 선사하죠.” 이 말은 물론 시를 쓰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진 말이겠지만, 빈 페이지처럼 가능성을 열고 신춘문예에 도전하는 응모자에게 힘을 실어주는 말로 대신하고 싶다.

좀 이르다 해도 또 좀 늦었다 해도 예비 작가들의 문학을 향한 마음은 한결같이 뜨겁다. 글을 써서 이룰 수 있는 것이 대단하다기보다 글을 쓰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 신춘에 도전하게 한다. 처음 시작하는 목소리가 아주 작게 전달되더라도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는 것 자체가 큰 도전이다. 김수영 시인의 다음 말도 도전하는 이들에게 힘을 실어 주는 것으로 들린다. “시도 시인도 시작하는 것이다. … 모기소리보다도 더 작은 목소리로 시작하는 것이다. 모기소리보다도 더 작은 목소리로 아무도 하지 못한 말을 시작하는 것이다.”(김수영의 산문 ‘시여, 침을 뱉어라’ 중에서)

천수호 시인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