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 쌓듯 컨테이너 박스 ‘차곡차곡’…바닷바람 솔솔~ 에어컨 없어도 시원[카타르 스토리]

윤은용 기자 2022. 11. 25. 21: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경기장 ‘974 스타디움’
974 스타디움의 컨테이너 박스로 만든 엘리베이터. 도하 | 윤은용 기자
대구FC의 ‘대팍’처럼 철판의자
홈팬들 발 구르며 ‘쿵쿵골’ 응원

25일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H조 포르투갈-가나전이 열린 카타르 도하의 974 스타디움을 찾았다. 8개의 월드컵 경기장 가운데서도 조금 특별한 곳이다. 카타르의 국제전화 발신코드인 974를 뜻하는 974개의 컨테이너로 구성된 이 경기장은 이번 대회의 주제 중 하나인 친환경·재활용 캠페인에 맞춰 건설된 경기장으로 잘 알려져 있다. 대회가 끝나면 경기장을 해체해 저개발 국가의 자재로 쓰인다.

경기장을 바라본 첫 소감은 레고 블록 같다는 느낌이었다. 컨테이너 박스가 마치 레고를 쌓듯 차곡차곡 올려져 있었다. 심지어 엘리베이터까지 컨테이너로 제작돼 신선했다.

이 경기장에는 냉각 시스템이 없다. 애초에 해체를 염두에 두고 지은 경기장이다 보니 냉각 시스템을 만들지 않았다. 사막 도시에 건설된 경기장에 에어컨이 없다는 것은 상상하기도 힘들다. 그런데 경기장은 예상과 달리 시원해 놀라움을 줬다.

친환경 경기장답게 자연 바람을 이용해 경기장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바닷가 인근에 위치한 경기장에 컨테이너 사이사이 공간으로 자연스레 해풍이 순환할 수 있도록 설계된 듯했다. 이날 경기가 열린 시간은 현지시간으로 오후 7시였는데, 오히려 쌀쌀해 자주 팔짱을 끼며 체온을 끌어올려야 했다.

974 스타디움은 K리그1(1부) 대구FC의 홈구장 DGB대구은행파크를 떠올리게도 했다. ‘대팍’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DGB대구은행파크의 명물은 홈팬들이 발을 크게 구르며 외치는, 이른바 ‘쿵쿵골’ 응원인데, 이곳에서도 볼 수 있었다.

974 스타디움은 계단만 콘크리트로 지어졌고, 나머지는 철판이 깔려 있다. ‘쿵쿵골’ 응원에 최적화된 환경이 갖춰져 있는 셈이다. 그래서 관중들이 발을 구를 때 발생하는 진동이 기자석에 앉아서도 고스란히 느껴졌다. 실제로 이날 관중들이 ‘쿵쿵골’ 응원을 했는데, 마치 대구FC 홈경기 취재온 것 같은 느낌도 살짝 들었다.

한국은 조별리그에서는 974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없다. 이곳에서 경기를 하려면 H조 2위로 조별리그를 통과해 G조 1위와 16강전을 치러야 한다. 우루과이전에서 보여준 경기력이라면, 974 스타디움에서 붉은악마의 ‘쿵쿵골’ 응원도 볼 수 있지 않을까.

도하 | 윤은용 기자 plaimston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