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하락 출발 후 반등…1330원대로 올라서

류난영 기자 2022. 11. 25. 09: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보다 0.88포인트(0.04%) 오른 2442.21로 장을 시작한 2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2022.11.25. photocdj@newsis.com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속도조절 기대감에 소폭 하락 출발했던 원·달러 환율이 다시 1330원대로 올라섰다.

2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전 9시 37분 현재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28.2원) 보다 5.2원 오른 1333.4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환율은 전거래일 보다 1.2원 내린 1327.0원에 개장했다. 장 초반 1326.0원까지 내려간 후 낙폭을 좁히더니 달러 강세 전환, 위안화 약세에 힘입어 반등했다.

달러화는 미 연준의 속도도절에 따른 위험자산 랠리 연장에 하락 마감했다. 24일(현지시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20% 하락한 105.752에 마감했다. 장 시작 후 소폭 상승하며 105.87선에서 거래중이다.

중국 내 코로나19 확진자 신규 확진자 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위안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전날 중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2만9000명으로, 지난 4월 상하이 봉쇄 당시를 상회했다. 이에 따라 달러 약세에도 불구하고 홍콩 역외 시장에서 위안화는 코로나19 신규 감염 증가로 인한 고강도 봉쇄, 중국 경기 부진 우려에 전날 보다 소폭 상승한 달러당 7.167위안에 마감하는 등 약세를 보였다. 중국의 방역 정책 우려로 위안화 약세가 더 심화할 경우 원달러 환율도 전날 낙폭을 일부 되돌리며 반등할 수 있다.

엔화는 미 금리인상 속도조절로 인한 양국간 통화정책 격차 확대 우려 완화에 0.8% 상승했다. 엔화는 11월 FOMC 의사록 공개 이후 이틀 간 2% 가량 급등하면서 달러 약세 전환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

간 밤 유럽중앙은행(ECB)은 10월 의사록에서 금리인상은 지속돼야 하지만 다가올 침체 깊이에 따라 일시 중단 역시 가능하다고 밝혔다. 루이스 데 귄도스 ECB 부총재는 "인플레이션 정점 통과가 가까이 왔으며 내년 상반기 물가가 진정될 것"이라고 발언하며 속도조절론에 힘을 보탰다. 다만 아직 다수의 위원이 12월 회의에서 0.75%포인트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자 유로화는 잠시 주춤한 후 강보합권 유지했다.

투자자들은 미 연준의 긴축 속도도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앞서 23일(현지시간) 공개한 미 연준의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참석자들 상당수가 조만간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일이 적절하다는데 공감했다. 또 다수의 위원들은 연준의 목표 달성을 위한 최종금리 수준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다소 더 높아져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연준은 지난달 FOMC에서 4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았지만, 다음달 13~14일(현지시간) 열리는 회의부터는 0.5%포인트 인상이 기정 사실화 되고 있는 등 속도조절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원화 강세로 작용하고 있다.

뉴욕 증시가 24일(현지시간) 추수감사절을 맞아 휴장한 가운데 유럽증시는 미 연준의 긴축 속도조절 기대감에 상승 마감했다. 이날 독일 DAX30 지수는 전 거래일 보다 111.97포인트(0.78%) 상승한 1만4539.56으로, 프랑스 파리 CAC40 지수는 28.23포인트(0.42%) 오른 6707.32에 거래를 마쳤다. 영국 FTSE 100 지수는 1.36포인트(0.02%) 오른 7466.6에, 범유럽지수인 유로 Stoxx 50 지수는 15.55포인트(0.39%) 상승한 3961.99에 장을 닫았다.

미 국채 금리는 금리인상 속조조절 기대에 하락했다. 같은 날 뉴욕 채권시장에서 시장의 벤치마크 금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0.75% 내린 3.661%에 마감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전장 대비 0.65% 내린 4.444%에 거래를 마쳤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오늘 환율은 최악의 상황은 점차 벗어날 것이란 유럽의 기대를 반영해 위험선호 영향 속 하락 출발했다"며 "다만 중국에서 신규 코로나19 감염자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제한적 위안화 약세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