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FOMC 경기침체·연준피벗 4단계·빈살만 구세주·이창용 점도표·K-디스카운트

황인표 기자 2022. 11. 25. 07:2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와이드 모닝벨 '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 진행 : 장연재 / 출연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경제학 박사

◇ FOMC 경기침체

연준이 미국 경제가 침체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올해 들어 첫 경기침체 경고에요?
- 11월 FOMC, 다수 위원들 내년 경기침체 가능성 언급
- 연준의 고강도 통화긴축에 미국 경제 침체 유발 우려
- 의사록 "상당수 참석자, 인상속도 둔화 곧 적절 판단"
- 11월 FOMC 4연속 자이언트스텝 동시에 속도조절 시사
- 연준 지난 3월부터 금리 인상…'경기침체' 단어 첫 포함
- 의사록 "내년 중 경기침체 진입 가능성, 기준선 가깝다"
- 블룸버그 "연준, 내년 경기침체 확률 거의 50%로 봐"
- 실질 가계지출 성장 부진·글로벌 전망 악화 등 지적

◇ 연준피벗 4단계

연준 피벗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시장은 최종금리에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기조 변화 신호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11월 의사록 속도조절 시사…최종금리 수준 이목
- 불러드 총재, 최근 공개석상서 연준 최종금리 7%대 발언
- '강경 매파' 불러드, 예상 벗어난 발언에 시장 '충격'
- 기관들 5.25% 전후 제시…일각 "6% 이상 리스크 여전"
- 노무라, 최종금리 5.75% 전망…월가 기관 중 최대
- 투자은행 스티펠 "불러드보다 더 높아야…최대 9%"

◇ 빈살만 구세주

사우디아라비아가 튀르키예와 대규모 통화스와프 체결을 논의 중입니다. 최근 경제가 악화된 튀르키예에 재정적 숨통이 트일까요?
- 사우디- 튀르키예, 50억 달러 규모 통화스와프 논의
- FT "카슈끄지 살해 4년, 지역 라이벌 간 화해 신호"
- 튀르키예 관계자 "양측 통화스와프 협상 마무리 단계"
- 튀르키예, 최근 물가상승·화폐가치 급락 등 압박 극심
- 에르도안 "금리 인상은 악의 어머니"…금리 인하 고집
- 리라화 가치, 연초 달러당 13리라→현재 18리라 후반
- 튀르키예, 올해 리라화 방어 최소 179억 달러 사용
- '국제사회 고립' 빈 살만, 에너지 위기에 존재감 부각

◇ 이창용 점도표

어제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최종금리를 언급했는데요. 금통위원 과반이 3.5% 수준이 적당하다고 봤어요?
- 금통위, 기준금리 0.25%p 인상…3.0%→3.25%로
- 기준금리, 2012년 7월 이후 10년 4개월 만에 최대
- '베이비스텝' 전원 만장일치…최종금리 전망은 분분
- 이창용 '한국식 점도표' 시도…최종금리 3.50~3.75%
- 위원 3명, 최종금리 "3.5% 적절"…3.75% 이상 2명
-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 2.1→1.7%…소비자물가 3.6%
- '김소월詩 넥타이' 이창용…"대출자 위로 의민가" 질문
- 이창용 "좋아하는 넥타이, 그 해석 좋아 받아들이겠다"

◇ K- 디스카운트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오래된 규제를 손봅니다. 어떤 내용들이 담겨 있나요?
- 금융당국,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위해 규제 개편
- 전세계 고강도 긴축 속 두드러지는 한국 시장 하락세
- 배당금 공시 제도 개편…배당금 확인 뒤 주식 투자
- 현재 배당 주주 확정 후 이듬해 배당금 결정 공시
- 배당금 먼저 결정한 뒤 주주 확정 방식 개편 방침
- 미·영·독 등 선진국, 배당금 결정 후 주주 확정 시행
- 1992년 문호 개방 당시 도입 외인 투자 등록제 개편
- 외인 사전 등록 폐지…투자 현황 모니터링 대안 마련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