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리스크 줄이자'…미래에셋 TIGER 환헤지형 美ETF 주목

이은정 2022. 11. 25.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 하락 등 높은 변동성으로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면서, 환율을 고정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환헤지 상품이 주목된다.

하민정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매니저는 "최근 주식, 채권, 외환 등 모든 자산군이 높은 변동성을 수반하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의 하락 전환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은 환헤지형 상품을 통해 포트폴리오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며 "TIGER 미국S&P500TR(H)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TR(H) ETF는 장기 성장성이 기대되는 상품으로 배당금 재투자로 인한 복리 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 연금 투자에 적극 활용하기에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율 변동 영향 없이 기초자산 가격에만 수익률 연동
개인·퇴직연금 모두 투자 가능…포트폴리오 변동성↓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최근 원·달러 환율 하락 등 높은 변동성으로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면서, 환율을 고정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환헤지 상품이 주목된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9월 원·달러 환율은 연초 대비 20% 넘게 상승해 1400원을 돌파했으나, 이후 1320원대 초반까지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과거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환율 변화 추이와 유사하게 조만간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로 회귀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에 원·달러 추가 상승분을 노리는 환노출 전략보다는 향후 원·달러 하락을 방어하는 환헤지 전략이 유효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환헤지 상품들이 주목되는 배경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S&P500TR(H)’와 ‘TIGER 미국나스닥100TR(H)’ ETF 2종을 신규 상장했다.

환헤지형 ETF는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만 수익률이 연동된다. 환노출형 상품은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이익이 발생하고 하락 시 손실이 발생한다. 하지만 환헤지형 상품은 원→달러 환전 시 환율로 달러→원 환전이 가능해 환율 변동 영향이 없다.

TIGER 미국S&P500TR(H)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TR(H) ETF는 퇴직연금 계좌에서도 매매 가능하다. 국내 상장된 미국 대표지수 환헤지 상품들은 대부분 선물형 상품으로 퇴직연금 계좌에서는 투자가 불가했다. 하지만 해당 ETF 2종은 미국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실물형 상품으로 개인연금과 퇴직연금 계좌에서 모두 투자할 수 있다. 퇴직연금 계좌 내에서 ETF 매매 시 거래수수료가 제외되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 레벨이 과도하게 높다고 판단할 경우 환노출형에서 환헤지형 상품으로 자유로운 이동도 가능하다.

TIGER 미국S&P500TR(H) ETF는 TIGER 미국나스닥100TR(H) ETF는 각각 S&P500 Total Return 지수와 나스닥100 Total Return 지수를 추종한다. Total Return 지수는 배당금이 바로 지급되지 않고 자동 재투자되기 때문에 배당금이 바로 과세되지 않는 과세 이연 효과가 있다. 배당까지 반영한 투자의 총 성과를 나타내 재투자를 포함한 복리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장기 투자 시 수익률도 극대화한다.

하민정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매니저는 “최근 주식, 채권, 외환 등 모든 자산군이 높은 변동성을 수반하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의 하락 전환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은 환헤지형 상품을 통해 포트폴리오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며 “TIGER 미국S&P500TR(H)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TR(H) ETF는 장기 성장성이 기대되는 상품으로 배당금 재투자로 인한 복리 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 연금 투자에 적극 활용하기에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은정 (lejj@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