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신탁운용, ’ACE 미국고배당S&P ETF’ 총보수 인하 [투데이 마이머니]

이도형 2022. 11. 25. 01: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쏟아지는 새로운 금융상품은 쉽게 지나치기 쉬운 귀찮은 ‘광고’ 취급을 받기 일쑤다. 하지만 돈과 직결되는 경제 유행을 반영한 ‘소식’이기도 하다.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은 이익 극대화를 위해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현재의 경제·사회 흐름과 분위기를 반영한 상품을 출시한다.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소비자의 몫이다. 나에게 유용한 상품을 찾아 소액 재테크에 활용하거나, 상품의 옥석을 가려내는 가늠자로, 또 때로는 보다 현명한 투자를 위한 ‘정보’로 삼을 수도 있다. 매일 주요한 금융상품을 간추려 소개한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ACE 미국고배당S&P 상장지수펀드(ETF)의 총보수를 연 0.50%에서 0.06%로 인하한다고 24일 밝혔다. …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3일 기준 국내에 상장된 배당주 ETF 중 최저 보수며 동일한 기초지수 'Dow Jones U.S. Dividend 100 Price Return Index'를 추종하는 미국 대표 배당주 ETF인 ‘슈왑 유에스 디비덴드 에쿼티’(Schwab US Dividend Equity∙티커명 SCHD)의 총보수 0.06%와 같은 수준이다.

2021년 국내 최초 ‘한국 SCHD’로 상장한 ‘ACE 미국고배당S&P ETF’는 꾸준히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이에 지난 6월에는 순자산 500억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김찬영 한국투자신탁운용 디지털ETF마케팅본부장은 “장기적 관점에서 연금 계좌를 통해 ‘ACE 미국고배당S&P ETF’에 투자하시는 고객분들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했다”라며 “장기 투자에서는 비용이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투자자의 장기 수익률을 극대화를 위해 총보수를 인하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본부장은 “해외에 상장된 ETF에 직접 투자하는 경우, 외화 환전의 번거로움이나 연금 계좌를 통한 투자 불가 등 불편 사항이 있다라”며 “이번 보수 인하로 국내 투자자들이 편리하게 미국 대표 배당주 ETF에 투자할 수 있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ACE 미국고배당S&P ETF'는 글로벌 선진 자본시장을 대표하는 미국의 고배당주 중에서도 장기적으로 우량한 이익을 바탕으로 주당 배당금을 꾸준히 늘리는 기업들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 상장종목 가운데 △ 최소 10년 이상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했고 △ 유동시가총액, 현금흐름부채비율,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펀더멘털(기업의 기초체력)이 우수하며 △ 연 배당수익률(=배당금/주가)과 5년 배당성장률이 높은 상위 100개 종목(리츠 제외)을 선별해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분산투자한다.

이 ETF의 기초지수인 'Dow Jones U.S. Dividend 100 Price Return Index'의 구성 업종은 전일 기준 기준 IT(20.92%), 금융(19.9%), 필수소비재(13.3%), 헬스케어(12.77%), 산업재(11.52%), 경기소비재(6.28%), 에너지(5.49%), 커뮤니케이션서비스(4.8%), 소재(2.95%) 등이다. 종목 별로는 글로벌 제약회사 머크&컴퍼니(4.51%),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개발 및 생산 기업 암젠(4.38%), 글로벌 IT 기술 및 컨설팅 그룹 IBM(4.26%), 음료 및 종합 식품 제조 판매회사 펩시콜라(3.97%) 등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ACE 미국고배당S&P ETF’의 지난 1년 수익률은 23일 기준 14.08%다. 같은 기간 나스닥종합지수와 S&P500지수의 수익률 -29.52%, -14.51를 각각 43.6%p, 28.59%p 상회했다. 6개월, 연초 이후 수익률 또한 각각 11.46%, 9.29%로 양호하다. 환노출형(UH) 상품으로 원화 대비 미국달러화(USD) 환율 변동이 기초지수 성과와 함께 일간 성과에 반영된다. 또한 1월, 4월, 7월, 10월의 마지막 영업일마다 분배금을 지급해 정기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