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률 높은 혈류감염 유발 ‘칸디다균’ 요로감염, 10년새 6배 늘었다

이병문 선임기자(leemoon@mk.co.kr) 2022. 11. 25. 00: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요로감염 대부분 예후 좋지만, 2차 혈류감염시 사망률 20~40%로 위험
강남세브란스 연구팀 “고령화·요로기계 카테터 사용으로 원인균 다변화”

요로감염은 흔한 감염 질환 중 하나로 요도와 방광, 요관, 전립선 등에 미생물이 침입해 염증성 반응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장내 세균에 의해 감염되지만 환자 연령, 성별 및 요로카테터 사용에 따라 다른 미생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요로감염은 보통 좋은 예후를 보이지만, 2차 혈류감염으로 진행되면 사망률이 20~40%에 달한다. 그 동안 요로연관 혈류감염을 일으키는 환자 요인에 대한 분석은 있었지만, 그 원인 미생물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고령화와 요로 카테터(관모양으로 구성된 의료 소모품)의 사용 빈도 증가로 지난 10년간 칸디다균에 의한 요로감염 비율이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한 칸디다균 요로감염은 치명률이 높은 2차 혈류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여타 원인균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송영구) 진단검사의학과 정석훈·최민혁 교수팀은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이 2차 혈류감염으로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으며 관련 논문을 ‘Impact of urinary tract infection-causative microorganisms on the progression to bloodstream infection : A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is(요로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이 2차 혈류감염으로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으로 국제 학술지 ‘Journal of infection’에 게재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연세대 의료데이터 플랫폼 SCRAP2.0을 이용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8만4,406명의 환자 정보를 대상으로 환자의 나이·성별·기저질환·요로기계 카테터를 포함한 치료기록 등 다양한 위험요인을 조사했다. 그 결과 대장균에 의한 요로감염 발생률의 상대적 감소와 함께 칸디다균에 의한 요로감염은 2011년 2.3%에서 2021년 14.4%로 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칸디다균과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요로감염은 높은 2차 혈류감염으로의 진행 및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었다. 요로감염이 혈류감염으로 진행된 5,137명의 환자 중 65세 이상의 고령층(62.2%)과 요로기계 카테터 사용자(60.8%)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P<0.001)

정석훈 교수는 “고령화 및 환자 중증도 상승으로 요로기계 카테터의 사용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장균 이외의 미생물에 따른 요로감염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원인균이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는 만큼, 의료현장에서의 적절한 조치 및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요로감염의 연간 유병률 중 요로감염(UTI) 원인 미생물의 비율.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