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최후 순간 적은 '류성룡 달력' 일본서 환수
[뉴스리뷰]
[앵커]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의 최후 순간을 묘사하듯 적은 기록이 처음 공개됐습니다.
충무공의 절친한 친구이자 '징비록'의 저자로 잘 알려진 서애 류성룡의 친필 기록인데요.
신새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장께서 스스로 가벼이 하시면 안 됩니다."
직접 출전하여 전쟁을 독려하다가, 날아온 탄환을 맞고 전사하였다.
충무공을 부르는 또 다른 이름인 '여해',
그의 최후의 순간을 적은 기록이 처음 공개됐습니다.
충무공의 절친한 친구이자 임진왜란 당시 명재상이었던 '징비록'의 저자, 서애 류성룡이 친필로 묘사한 기록입니다.
기록은 오늘날의 달력에 해당하는 '대통력'의 표지에 담겼습니다.
<정제규 /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상근전문위원> "1600년 당시에 표지가 상실되었고 그것을 위해서 본인이 평소에 이렇게 서애 선생님께서 메모로 남겨두셨던 기록 가운데 한 장을 임시 표지로 활용하셨던 사례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정식 이름은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 <경자>.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지난 5월, 이 대통력이 일본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9월 국내로 매입해 들여왔습니다.
<류창해 / 풍산류씨 종손> "어떤 경로로 유출됐는지는 저희 자손으로서는 현재 알 수가 없는데, 멀리 해외에 나가 있는 걸 찾아서…"
류성룡 종손 가에서 소장해 온 '종가 문적'에도 대통력 6책이 포함돼 있지만, 경자년의 기록은 처음입니다.
임진왜란 시 일본에 끌려갔던 강항의 귀국과 의인왕후의 죽음 등 당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내용도 여럿 담겼습니다.
<최응천 / 문화재청장> "서애 류성룡 선생의 기록뿐만 아니라 기록에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전사 상황과 같은 경자년에 발생했던 역사적 사실도 확인할 수 있어서 더욱 문화적 지위가 높다고 판단합니다."
대통력은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돼 연구와 전시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 (romi@yna.co.kr)
#류성룡 #임진왜란 #이순신 #달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두번째 유튜브 채널 [연유티] 구독하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저작권자(c)연합뉴스TV.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단독] 극단선택 시도한 일가족…그 뒤엔 15년 가스라이팅한 무속인
- 식당 구석 손님이 남긴 김치 모은 통…"김치찌개 끓이려고"
- 中, 소변기물로 식판 세척·'쥐머리' 식당밥에 '시끌'
- '산모 바꿔치기' 30대 여성 구속…신생아 불법입양 의혹 수사 확대
- 가격 폭등에 금값 된 천일염…원전 오염수 불안이 한몫
- 매일 1천 명당 1명 필로폰 투약 추정…엑스터시도 확산
- 김의철 KBS 사장 "수신료 분리징수 철회시 사퇴"
- "일기장 버려 화나서" 60대 부친 살해 30대 검거
- 고층 아파트서 10살 아이 추락사…반복되는 안전사고
- '부산 돌려차기 男' 신상공개…사적제재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