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일간 100만여명 수해복구 구슬땀… 절망 속에서 찾은 희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3일 찾은 경북 포항시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입구에 들어가기 전부터 수해의 흔적이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포스코가 과감하게 포항제철소에서 가동 중이던 모든 고로를 중단시키며 피해를 최소화했지만, 대부분 압연공장은 모두 물에 잠길 수밖에 없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태풍 ‘힌남노’가 할퀴고 간 공장서
임직원들 주말 없이 24시간 작업
2열연 공장은 여전히 바닥에 물기
압연공장 18곳 중 15곳 연내 복구
일부 시설은 내년 2월 정상 가동
“처음에는 눈물도 안 나올 정도로 참담했어요. 제가 퇴직하기 전까지 여기가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했을 정도니까요.”(허춘열 압연부소장)
이날 포스코는 태풍 ‘힌남노’에 따른 수해 복구 현장을 언론에 공개했다. 지난 9월6일 인근 냉천이 범람해 포항제철소가 침수·화재 피해를 본 지 78일 만이다.
결국 ‘초대 포스코 명장’인 손병락 EIC기술부 상무보가 직원들을 다독였다. 170t에 달하는 모터를 분해하고 세척하는 것은 새로운 도전이었지만, ‘실패하면 제철소가 멈춘다’는 생각에 일단 부딪쳐볼 수밖에 없었다. 손 상무보는 “포스코는 쉬운 목표를 세워본 적이 없고 늘 안 되는 목표를 이루려고 노력해서 여기까지 왔다”고 했다. 해외 모터회사들조차 ‘분해해봤자, 못 고친다’고 난색을 표했지만, 포스코가 자체적으로 47대의 모터 중 33대를 분해와 수리를 거쳐 조립까지 성공했다.
정치권과 산업계 일각에서 포스코의 초기 대응 부실에 대한 지적이 나왔지만, 내부 구성원들의 생각은 달랐다. 고로 중앙운전실에서 만난 김진보 선강담당 부소장은 “고로가 처음 가동된 1973년 이후 약 50년 동안 수백번의 태풍이 지나갔지만, 태풍이 온다고 고로 가동 중지에 들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저희들끼리는 경영진이 너무 과한 일을 하는 것 아니냐고 얘기했는데, 결과적으로 고로를 위해 할 수 있는 최고의 결정이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총 18개 압연공장 중 연말까지 15곳을 복구할 예정이다. 계획대로면 연내 기존 포항제철소에서 공급하던 제품은 모두 정상적으로 재공급할 수 있을 전망이다. 아직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인 2열연공장은 다음달, 나머지 도금 CGL, 스테인리스 1냉연공장 등 일부 시설은 내년 2월까지 복구를 마칠 예정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빠르게 보다 안전하게’ 복구를 진행해 초유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더 단단한 조직과 더 강건한 제철소로 거듭날 것”이라며 “이번 피해 상황과 복구 과정을 면밀히 기록하고 분석해 앞으로 최고 수준의 재난 대비 체계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항=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