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장 "15조 혁신성장펀드 조성…벤처기업 지원"

최나리 기자 2022. 11. 24. 18:12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3조원 규모 대출 지원도
금융위원회가 향후 5년간 15조원 규모의 혁신성장펀드를 조성해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합니다.

또 산업은행·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담보가 부족하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창업·벤처기업에 대출을 지원해주는 6조3천억원 규모의 프로그램도 신설합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오늘(24일) 서울 마포 프론트원을 방문해 벤처기업인, 벤처투자업계, 금융권과 함께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지원 방향을 밝혔습니다.

김 위원장은 "혁신성장펀드를 5년간 총 15조원 규모로 조성해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분야의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벤처기업이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혁신성장펀드는 연 3천억원의 재정을 투입해 매년 3조원(재정출자비율 10%) 규모로 혁신산업 및 성장지원 분야에 투자하게 됩니다.

정책금융기관은 성장성 중심의 심사를 통해 벤처 기업을 자금을 공급하는 6조3억원 규모의 프로그램을 도입합니다.

특히 기업은행은 신주인수권부사채(신주를 살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사채)를 결합한 대출 구조로 낮은 금리를 제공하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식 벤처대출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벤처회사는 초기 투자유치 이후 후속투자를 받기까지 자금이 부족한 기간 시중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행은 기술력·성장잠재력 중심의 심사를 통해 담보가 부족하거나 신용등급이 다소 낮더라도 대출 지원을 할 방침입니다.

이밖에 새로운 모험자본 기구인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유망 비상장기업 위주로 투자하고 상장을 통해 환금성도 높인 펀드) 도입과 공모 규제 합리화를 통해 자본시장을 통한 민간 자금 조달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표준평가모형을 통해 기술특례상장평가를 내실화함으로써 혁신기업의 상장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