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 美 셰브론의 베네수엘라 석유사업 허용할 듯”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정부가 자국 석유 대기업 셰브론이 베네수엘라에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증을 부여할 방침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는 마드로 정권 축출을 명분으로 최대 압박을 가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셰브론의 현지 추가 사업을 중단시켰다.
WSJ는 앞서 조 바이든 행정부가 니콜라스 마드로 베네수엘라 정권에 대한 제재를 축소해 셰브론이 현지에서의 석유 시추를 제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자국 석유 대기업 셰브론이 베네수엘라에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증을 부여할 방침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는 마드로 정권 축출을 명분으로 최대 압박을 가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셰브론의 현지 추가 사업을 중단시켰다. 셰브론은 베네수엘라 국영 석유업체 페트로레오스데베네수엘라(PDVSA)와 합작 벤처를 통해 베네수엘라 유전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허가증 발급 결정은 베네수엘라 정부와 야당이 미국으로부터 동결 해제된 펀드를 활용해 30억 달러(약 4조원) 규모 인도주의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다음달 멕시코시티에서 열릴 회담에서 자유로운 선거를 실시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WSJ는 앞서 조 바이든 행정부가 니콜라스 마드로 베네수엘라 정권에 대한 제재를 축소해 셰브론이 현지에서의 석유 시추를 제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셰브론이 사업권을 보장받을 경우 베네수엘라 석유 생산 및 유지 관리 활동에 관한 부분적인 통제권을 되찾을 전망이다.
WSJ는 미국의 베네수엘라 제재 완화가 러시아 원유 제재를 앞두고 진전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러시아 원유 제재로 인한 공급 부족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셰브런의 원유 생산을 허가하더라도 베네수엘라의 원유 공급이 당장 눈에 띄게 증가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국제사회의 제재와 부정부패로 베네수엘라 석유 산업이 쇄락했기 때문이다. 베네수엘라는 1990년대 하루 30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했지만, 현재는 하루 70만 배럴로 줄었다. 이 때문에 시장 전문가들은 베네수엘라의 원유 생산량을 100만 배럴로 늘리는 데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의사되기 이렇게 쉬웠나? '수능 4등급' 헝가리 가는 이유
- '고급 주택' 되어버린 85년 韓 문화재, 세금폭탄 맞은 사연
- 오포·화웨이에 시장 뺏기는데 모토로라까지 온다… 中 폴더블폰 반격에 삼성 위기감 고조
- “집주인이 보증금 안 돌려준다면?”... ‘역전세 폭풍’ 속 살아남는 방법은
- 금보다 수익률 '쏠쏠'… 선물 거래 시장서 돋보인 상품
- [김남희의 차이나 트렌드] 나이키 제치고 1위 등극한 안타…中 시골 소년이 세운 ‘스포츠 제국’
-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우주인 이소연 “인생은 중력과 은총 사이… 야심없이 가볍게 가야”
- 엠블럼 과감히 없앴다… 자신감 장착하고 나온 日 SUV
- 500만원으로 창업한 청년, 연매출 50억 사장님 된 비결
- 엔비디아 덕에 시선집중… 석달 간 주가 70% 넘게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