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보다 무서운 말라리아…88% 예방 효과 보인 면역 항체 등장

박종익 2022. 11. 24. 10: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인류는 전염병의 파괴력이 엄청나다는 사실을 다시 실감했다.

하지만 인플루엔자나 코로나19처럼 변이가 매우 빠른 바이러스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효과적인 백신과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면 장시간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사진=123rf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인류는 전염병의 파괴력이 엄청나다는 사실을 다시 실감했다. 하지만 인류를 괴롭히는 질병은 코로나19 하나만이 아니다. 사실 누적 사망자 숫자로 따지면 말라리아 같은 오래된 전염병이 코로나19 같은 신종 전염병보다 훨씬 심각한 상황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추정에 의하면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에도 전 세계적으로 2억 4100만 명이 말라리아에 감염되고 그중 62만7000명이 사망했다. 지난 수천 년 동안 누적 사망자가 얼마인지는 짐작하기도 어렵다.

현재 말라리아 사망자 대부분은 사하라 남쪽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희생자 대부분이 5세 이하의 어린이다. 말라리아 유행 지역에서 벗어나 있거나 의료 시스템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는 체감하기 힘들지만, 말라리아는 여전히 인류를 위협하는 심각한 기생충 질환인 셈이다.

하지만 선진국에서 신규 환자나 사망자가 적다 보니 코로나19와 달리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말라리아 백신은 최근에서야 대규모 접종이 시작됐는데 예방 효과가 50% 이하로 매우 낮아서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과학자들은 더 효과적인 말라리아 백신을 개발하는 동시에 백신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면역력을 지니게 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대표적인 방법은 효과적인 항말라리아 항체를 투여해 고위험군에 6개월 이상 면역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의학저널 NEJM 최신호에 2상 임상 시험 결과을 보고한 열대열원충(Plasmodium falciparum) 항말라리아 단클론 항체인 CIS43LS는 최대 88%의 예방 효과를 보여 말라리아와의 전쟁에서 새로운 희망으로 떠올랐다. 말리에서 진행된 2상 임상 시험에서 위약군, 저용량군, 고용량군을 6개월 간 비교한 결과 저용량군에서 75%, 고용량군에서는 88%의 예발 효과가 나타났다.

주기적으로 항체 주사를 맞아야 하는 불편함은 있지만, 고위험군의 말라리아 예방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된 것이다. 하지만 현재 연구팀은 CIS43LS이 아니라 그보다 더 우수한한 후속작인 L9LS에 주목하고 있다. L9LS는 CIS43LS이처럼 정맥 주사가 아니라 피하 주사로 접종이 가능해 대규모 접종에 더 유리하다. 따라서 항말라리아 항체 개발은 앞으로 L9LS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L9LS는 1상 임상을 통과하고 2상 임상을 준비 중이다.

말라리아 정복은 아직은 먼 미래의 일이다. 하지만 인플루엔자나 코로나19처럼 변이가 매우 빠른 바이러스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효과적인 백신과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면 장시간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앞으로 임상 시험 결과가 주목된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