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와 산림] 목재의 재발견...탄소 배출 줄이는 친환경 자재

장윤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과 입력 2022. 11. 24. 10:20 수정 2022. 11. 24. 13: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의 홍수피해 현황. 연합뉴스 제공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 생활은 점점 더 편해지고 있지만 이에 따른 화석자원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가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산불, 홍수, 가뭄 등 극한의 기후현상이 잦아지면서 파키스탄은 국토의 3분의 1이 물에 잠기는 대홍수를 겪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기기 시작한 카리브해와 남태평양의 섬나라 사람들은 살 곳을 잃어가고 있다.

한국도 2018년 심각한 폭염에 이어 2020년에는 길고 긴 장마를 겪었고, 올해는 최장기간의 산불과 수도권에 집중된 폭우로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었다. 기후 재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관심이 모일 수밖에 없다.

전세계는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인 산림과 목재를 주목하고 있다. 산림은 자라나는 나무의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것으로 익히 알려져 있는 것과 달리 목재는 나무를 베어내면서 오히려 탄소를 배출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앞선다.

목재는 또 하나의 탄소저장고이다. 다 자란 나무를 자르면 더 이상 탄소를 흡수하지 못한다. 더욱이 그대로 놓아두면 일부는 분해되어 토양에 다시 저장되지만 대부분 대기 중으로 다시 탄소가 배출된다.

하지만 목조주택이나 목재가구 등 목재제품으로 이용하게 되면 제품의 수명 동안 대기 중으로 탄소가 배출되는 것을 늦출 수 있다. 한 변의 길이가 1.6cm인 정육면체 목재에는 탄소 1g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3.7g 흡수한 양과 동일하다. 따라서 성숙한 산림에서 목재를 수확하고 탄소가 저장된 목재를 오랫동안 이용하며 생장이 왕성한 어린나무로 다시 심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산림과 목재의 탄소흡수·저장기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수입한 목재제품에 저장된 탄소는 더반에서 열린 제17차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에서 결정된 합의문에 따라 수입국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수입제품을 생산한 국가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자란 나무를 이용해 생산한 목재제품만이 국가 온실가스 흡수·배출량을 산정하는 대상이다.

또 국가 간 무역 시 해상운송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물량이 많고 운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배출량이 늘어난다. 우리나라 제재목 수입의 30%를 차지하는 칠레(거리 약 1만6000km)에서 해상운송으로 1톤의 목재를 수입할 때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은 0.13톤이다. 생산에 소요되는 자원 및 에너지 조건이 수입재와 국산재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국산목재의 이용은 운송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수입목재를 이용할 때보다 배출량을 25%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산목재 이용을 확대해 탄소저장량을 늘리고 운송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향후 탄소세 및 환경 무역장벽에 대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목재제품은 화석자원기반 재료인 철, 시멘트, 플라스틱에 비해 생산 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으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1톤의 재료를 생산할 때 시멘트는 0.9톤, 플라스틱은 1.5톤, 철은 3.2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지만 건설재로 이용되는 구조용 건조 제재목은 0.4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그러므로 플라스틱이나 철 대신에 목재제품을 이용한다면 화석자원 이용을 줄여 결국 국가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목재의 탄소저장 및 대체 기능을 함께 고려해 ‘수확 - 이용 – 다시심기’의 산림자원 순환이용을 증진하기 위한 산림경영전략이 필요한 때이다.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순환경영체계. 국립산림과학원 자료

향후 우리나라 산림자원의 성숙에 따라 수확된 원목의 고부가가치 및 장수명 용도로 우선 이용하기 위해서는 내화·내구성 향상 등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요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EU의 신산림전략(‘21.7)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산림의 지속가능성 한계 내에서의 목재생산량 유지 및 단계적 이용원칙(cascading principle)과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접근방식에 따른 최적 이용을 보장해야 한다. 목재의 화재 위험 및 내구성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건설·사용·철거 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및 에너지 소비 감소 등 환경측면에서의 목재가 가지는 장점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EU 산림자원의 단계적 이용원칙. 장윤성 제공

이를 위해 산림청은 선진국형 산림경영·관리를 통한 ‘산림 르네상스’ 추진전략을 수립하여 산림의 경제적·환경적·사회문화적 기능을 극대화하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재 16% 수준인 목재자급률을 2027년 25%까지 상향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공공건축물의 목조화 확대,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의 지속가능한 이용 촉진 등을 실행방안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이집트에서 열린 기후변화당사국 총회(COP27)의 주제는 ‘이행을 위하여 함께(Together for Implementation)’였다. 경제규모로는 이미 선진국 반열에 오른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과 협력해 기후변화와 지구촌 빈곤이라는 공동의 문제에 함께 대응할 필요가 있다. 기후위기에 대한 대응은 아주 먼 미래에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지금 우리 앞에 놓인 시급한 문제이다.

역설적으로 탈탄소시대에 목재는 쓸수록 친환경적이다. 목재는 지속적으로 생산가능한 산림자원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더욱이 사용된 후 분해되어 자연으로 되돌아가거나 새로운 제품으로 만들어지는 순환이용이 가능한 소재이기 때문에 환경파괴와는 거리가 멀다. ‘목재이용 = 환경파괴’라는 과거의 인식에서 벗어나 자원으로서의 산림 및 목재의 가치를 다시 바라볼 때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이용하는 작은 소품이라도 국산 목재로 만든 제품을 우선 이용하며, 새로운 나무를 심고, 그 나무가 다시 쓰일 수 있을 때까지 기다려준다면 탄소중립에 작지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장윤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과 임업연구사

[장윤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과 jang646@korea.kr]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