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원의 투자전략] 12월엔 '산타랠리' 온다…포트폴리오 전략은?

SBSBiz 2022. 11. 24. 09:3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와이드 이슈& '유동원의 투자전략' - 유동원 유안타증권 글로벌자산배분 본부장

[전일장 체크포인트]

◇ 간밤 美증시 체크포인트는?

- FOMC 의사록 공개에 상승…증시 진단은?
- 다우 0.28%·S&P500 0.59%·나스닥 0.99%↑  
- 다우, 0.28% 올라 3만4194.06
- S&P500, 0.59% 상승해 4027.26
- 나스닥, 0.99% 뛴 1만1285.32
- 노동시장 둔화·연준 금리인상 속도조절 재확인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4만 건…예측치 상회
- 2주 연속 신청건수 155만1000건…3월 이후 최고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증가…노동시장 둔화 신호
- 노동시장, 여전히 강하지만 약간 둔화하는 모습
- 노동시장 둔화 = 추가 금리인상 압력 감소
- IT 업체의 감원규모, 전체 일자리의 0.1% 수준
- 미국 경제와 소비가 좀 더 버틸 수 있다는 의미
- 10월 내구재 주문 1% 증가…2773억7500만 달러
- 내구재는 반짝 증가했으나 지속 여부 불투명
- 10월 신규주택 판매, 전월比 7.5% 증가 63만2000채
- FOMC 의사록, "조만간" 금리인상 속도 늦춰야
- 연준 "금리인상 속도 곧 느려질 것"
- FOMC 의사록서 12월 빅스텝 가능성 시사
- 0.75%p 지속 시 문제…향후 0.25%p 가능성
- 금리 인상 시작 후 첫 '경기침체' 단어 포함
- “다수 아닌 일부만 최종금리 어느 정도 상승 예측”
- “11월 CPI가 분위기 가를 결정적 요인 될 듯”
- FOMC 의사록 발표 이후, 국채수익률 일제 하락
- 10년물 국채금리, 회의록 공개 직전 3.74%→3.69%
- 2년물 국채금리, 0.04% 하락한 4.479%
- 美 채권수익률 하락하자 모기지금리도↓ 7% 미만
- 달러인덱스, 의사록 공개 뒤 급락해 106.1
- WTI, 3.72% 떨어져 배럴당 77.94달러
- "어두운 터널 끝 빛이 보인다…투자열망 고개"
- 아마존 1.00%·메타 0.72%·테슬라 7.82%↑
- 씨티그룹, 테슬라 투자의견 '매도'에서 '중립'
- 24일 뉴욕증시 추수감사절 휴장
- 25일 뉴욕증시 ‘블랙프라이데이’ 조기폐장

◇ 상방 열려있다…3대지수 추가 상승여력은?

- 다우와 나스닥, 연말까지 추가 8~10% 상승 가능
- 나스닥, 금리 민감도 높아 최종금리에 대한 확신 필요
- 중장기 매력도, 3대지수 중 나스닥이 가장 높아
- 현재 나스닥의 상승여력은 15~20% 수준

◇ 美 국채금리 역전 폭 40년 만에 최대…괜찮을까?

- 장단기 금리 역전 부담 커진 시장 
- 10년- 2년 장단기 금리차 - 0.7% 포인트 수준
- 10년- 3개월 장단기 금리차 - 0.5% 포인트 수준
- 장단기 금리 역전 후 평균 16~17개월 뒤에 경기침체 시작
- 美 10년물 4.4% 고점 이후 하향 안정화

◇ 경기침체 예상시기와 증시 시나리오는?

- 대출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중
- 12% 대출 증가율 유지될 경우, 2024년 하반기 침체 예상
- 美증시 최소 내년 4월까지 상승 추세 판단

◇ 경기침체 강도와 시장 여파는?

- 美 10월 경기선행지수 예상보다 높은 0.8% 하락
- 美 10월 경기선행지수 114.9…"경기 이미 침체 시사"
- 경기선행지수, 조만간 바닥 다지고 반등 예상
- 경기침체 강도는 약하고 폭 또한 크지 않을 것
- 美 증시 투자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리는 구간
- 침체 이후 빠른 시장 반등…준비된 투자자만 기회

◇ 유동성 지표의 '바닥' 찾아라…핵심포인트는?

- 유동성 지표인 M1, M2 증가율 추이 주목 
- M1, M2 증가율 거의 1% 대로 하락
- 실질 유동성 수치, 9월 말 바닥 이후 10월부터 재상승
- 유동성 더 이상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
- M2 증가율, 1%가 바닥…경기 선행지수도 바닥 다질 것

◇ 공포에 사서 탐욕에 팔아라, 주식 언제 매매할까?

- 0은 극단적 공포, 100은 극단적인 낙관
- AAII 투자자신뢰지수 비관적, 안도랠리 가능성 높아져
- 美 투자은행 "시장 폭 침체된 수준…곧 안도랠리 펼쳐질 것"
- 올해 모든 랠리 VIX 33~36 부근에서 시작
- 랠리, VIX 19~20 부근으로 떨어지면 종료
- 월가 공포지수 폭락...“美증시 약세장 회귀 가능성↑”
- VIX 지수, 통상 장기 평균치인 20 지지선
- 20선에 가까워지거나 하회할 경우 증시 약세장 회귀

◇ 모로 가도 상승장…시나리오별 대비 전략은?

- 밸류·이익모멘텀·주식선호도·정부정책환경 감안
- 증시, 적극적인 재상승 구간에 진입 가능
- 아직은 변동성 극심한 베어마켓 랠리 모멘텀

◇ 장기 성장 가능한 섹터…지금 주목해볼 업종은?

- 전자상거래와 비메모리 반도체 업종 주목
- 전자상거래 관련 종목 향후 매력도 높아 
- 美 전자상거래 시장 30년 약 10%의 CAGR을 기록
- 낮은 시장 진입장벽으로 다수의 경쟁사 유입되는 모습
- 종목 선별 어려울 경우 ETF로 접근 추전
- 대표 전자상거래 ETF, IBUY·IPAY·ONLIN
- 전자 결제 기업위주 ETF, IPAY의 매력도 높다고 판단

◇ 투자 기회 왔다…지금 접근 가능한 업종은?

- 반도체 업종에 대한 바닥 잡기 노력
- 4Q22가 관련 반도체 섹터의 바닥일 가능성 높음
- 시장전문 조사 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른 대표종목 선별

◇ 신흥국 중 한국증시가 매력적인 이유?

- 신흥국 중 대만과 한국이 매력도가 가장 높게 나와 
- 한국의 매력도에 관심 가질 필요 높음
- 한국 전기차/부품 업종에 가장 높은 관심 필요
- 한국 반도체업종에 대한 관심도 여전히 필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