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반등 노리는 큰 손들의 확신 "에너지는 배신하지 않아"

김성훈 2022. 11. 24.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자본시장 안팎에서 많이 들리는 얘기는 크게 두 가지다.

텔리스 에너지 최고 투자 책임자인 푸자 고얄(Pooja Goyal)은 칼라일 유튜브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텔리스 에너지를 통해) 유럽 시장에서 태양광 및 기타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에너지 투자가 붐을 이루면서 얼어붙은 분위기 속에서도 매각을 통해 차익을 두둑이 챙길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PE 에너지 투자처 집중 베팅
높아진 수요…매각 나서며 반사이익
에너지 가격↑…안정적 투자처 확산
"차세대 에너지, 견고한 수익 가능"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최근 자본시장 안팎에서 많이 들리는 얘기는 크게 두 가지다. ‘엄동설한(嚴冬雪寒)에 잘못 나섰다간 얼어 죽는다’거나 ‘지금이야말로 투자 적기’라는 말이 그것이다. 글로벌 자본시장을 주도하는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은 후자에 힘을 싣고 있다. 모두가 투자를 꺼릴 때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이 수익 추구에 더 유리하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는 셈이다.

다만 여기에는 한가지 전제 조건이 붙는다. 밸류에이션(기업가치)이 떨어진 기업을 막무가내로 투자하는 것이 아닌, 업사이드(상승여력)가 확실한 투자처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의 시장 흐름을 살펴보면 ‘에너지’라는 키워드에 주력하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캐나다 가스 생산업체인 웨스트브릭(Westbric)은 시장에서 점치는 매각가만 15억 캐나다 달러(1조5000억원)에 육박한 상황이다. 지난 2012년 2억5000만 캐나다 달러를 투자한 KKR로서는 예상 수준에 매각할 경우 10년 만에 6배 오른 가격에 엑시트(자금회수)할 수 있을 전망이다. 웨스트브릭 회사 전경 (사진=Tasos Mansour on Unsplash)
23일 자본시장에 따르면 자산운용이 500조원에 육박하는 미국계 PEF 운용사인 칼라일그룹은 이달 중순 유럽 기반 태양열 중심 재생 에너지 플랫폼인 텔리스 에너지(Telis Energy)를 론칭했다. 이 회사는 오는 2030년까지 영국과 프랑스, 스페인, 독일의 PV(태양광 발전설비)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텔리스 에너지 최고 투자 책임자인 푸자 고얄(Pooja Goyal)은 칼라일 유튜브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텔리스 에너지를 통해) 유럽 시장에서 태양광 및 기타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칼라일그룹은 이달 초에도 미국 태양열 개발업체인 아스펜 파워(Aspen Power)에 3억5000만 달러를 투자했고, 지난해에는 캐나다 에너지 전환 플랫폼인 엠프 에너지(Amp Energy)에 3억7400만 달러를 베팅하기도 했다. 2018년 이후 칼라일그룹이 해당 분야에 투자한 금액은 12억 달러(1조6200억원)에 육박한다.

스페인 PEF 운용사인 퀄리타스 에너지(Qualitas Energy)도 이달 중순 11억 유로(1조5300억원) 규모의 재생 에너지 펀드를 클로징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해당 펀드는 독일과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 전역에 개발 중인 재생 에너지 자산에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5억 유로의 추가 모집을 통해 총 16억 유로 펀드를 최종적으로 꾸린다는 계획이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투자만큼 매각 작업도 활발하다. 미국계 PEF 운용사인 KKR(콜버츠크래비츠로버츠)는 캐나다 가스 생산업체인 웨스트브릭(Westbric) 매각 작업에 나섰다. 시장에서 점치는 매각 가격만 15억 캐나다 달러(1조5000억원)에 육박한 상황이다. 지난 2012년 2억5000만 캐나다 달러를 투자한 KKR로서는 예상 수준에 매각할 경우 10년 만에 6배 오른 가격에 엑시트(자금 회수)할 수 있을 전망이다.

글로벌 투자 큰 손들이 에너지 투자에 집중하는 이유는 최근 급등하는 에너지 원자재 가격이 원인으로 꼽힌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갈등 장기화로 에너지 수급 중요성이 부각된 상황에서 관련 투자처를 보유한다면 향후 추구할 수 있는 수익이 크다는 기대감이 확신으로 굳은 것이다. 에너지 투자가 붐을 이루면서 얼어붙은 분위기 속에서도 매각을 통해 차익을 두둑이 챙길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한 PEF 운용사 관계자는 “차세대 에너지 전환 움직임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관련 투자가 늘어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인프라, 나아가 에너지 관련 투자는 향후 안정성 확보나 수익 추구 측면에서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성훈 (sk4h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