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칼럼함께하는세상] 다르지 않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족센터 방문객에게 센터에서 하는 일을 설명해줬다.
가족상담, 부모교육, 사례관리, 공동육아나눔터, 아이돌봄지원사업 등등 설명할 게 많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다문화가족은 상담을 잘 받지 않는다.
다문화가족은 상담을 잘 받지 않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종종 뜻밖의 사실을 만날 때가 있다. 2020년 연말에 센터에서 이용자 대상으로 욕구조사를 했다. 489명이 참가했는데 부부간 소통을 묻는 문항에 소통이 잘 된다는 응답은 다문화가족 그룹과 비다문화가족 그룹이 비슷했으나 소통이 안 된다는 응답은 비다문화가족이 좀 더 높았다. 여성가족부가 실시한 2021년 다문화가족실태조사 결과에서도 배우자 관계 만족도 평균이 4.39로 2018년 조사보다 높아졌다.
‘아’ 다르고 ‘어’ 다른 표현의 차이에서 오는 민감한 상처, 생활양식의 다름에서 오는 스트레스, 배우자에 대한 기대치를 자꾸만 낮춰야 하는 불만이 어느 부부인들 없겠는가. 여기에 다문화가족은 경제적 어려움, 언어 차이, 문화 차이 때론 세대 차이까지 추가되는데 배우자와의 관계에 이렇게나 후하게 만족한다니 일단 반가웠다. 국제결혼을 결심할 때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수용하려는 적극적인 의지가 있어 가능한 것 같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상담을 잘 받지 않는다. 그래, 그럼 괜찮다고 넘어가려 했다.
그런데 아주 가끔씩 상담을 받으러 올 때가 있다. 남편의 음주와 폭력이 잦아졌다고 알려올 때, 아내가 집을 나갔는데 행방을 찾을 길이 없냐고 물어올 때이다. 사건의 경위를 따라 역주행하다 보면 늦은 감이 밀려온다. 아내에겐 안전을 확보할 방법을 알려주는 게 최선이고, 남편에겐 하소연을 들어주는 게 최선이다. ‘4.39’의 평균에 가려진 일화들이다.
누적된 사건들을 돌이켜가면서 관계를 개선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권하고 싶다. 사소한 일부터 상담을 받으시라고 말이다. 한국어 천천히 할 수 있는 만큼 얘기하면 된다. 통역을 도와줄 사람도 있으니 너무 긴장하지 마시라. 상담사가 다문화가족에 대해 뭘 아냐고 걱정하지 마시라. 다문화가족이라고 다르지 않다. 부부가 가정을 꾸리고 의지하고 협력하며 사는 일은 다문화라고 다르지 않다. 부부간에 시시콜콜 다 말하지 않고 살아도 별일 없다고 장담하지 마시라. 그건 나이듦의 징조이지 이제 결혼해서 아이 기르며 사는 부부들의 몫은 아니다. 그러니 불만이 쌓이고 언쟁이 반복될 때 상담실에 오셔라. 사는 건 다 똑같다.
정종운 서울 구로구가족센터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들, 남편 있어도 행복하지 않았다” 장윤정, 가족도 이해 못 하는 아픔 고백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이게 가능해? 32년째 은행 이자 20% 받고 있는 송은이, 놀라운 재테크 비결
- “아들 유전자 검사…이게 인간이냐” 외도 남편 김학래 쓰레기 인성 폭로한 임미숙
- 날라리인 줄 알았던 소지섭, 어려웠던 집안 일으켜 세운 효자였다
- 불륜 남편에 위자료 40억 주고 이혼?…요리연구가 이혜정 파경설, 진실은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박미선 생각에 결국 눈물 쏟은 이봉원…불화설·이혼설 모두 날렸다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