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사상 미국에 전파"…스티븐스 前대사 '제1회 백범상'

공태윤 2022. 11. 23. 18: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 미국대사(오른쪽)가 백범 김구 선생의 사상과 업적을 미국 사회에 알리는 데 기여한 공로로 '제1회 백범상'을 받았다.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와 백범김구기념관은 23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제1회 백범상 시상식을 열어 주한 미국대사를 지낸 스티븐스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에게 백범상 상장과 기장, 상금 1000만원을 수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 미국대사(오른쪽)가 백범 김구 선생의 사상과 업적을 미국 사회에 알리는 데 기여한 공로로 ‘제1회 백범상’을 받았다.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와 백범김구기념관은 23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제1회 백범상 시상식을 열어 주한 미국대사를 지낸 스티븐스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에게 백범상 상장과 기장, 상금 1000만원을 수여했다. 주최 측에 따르면 스티븐스 전 대사는 2007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수석부차관보 재직 시절 김구 선생에 관해 알게 된 후 선생의 삶과 민주주의에 대한 갈망을 미국 사회에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김구 선생의 ‘한미친선평등호조(韓美親善平等互助)’ 휘호 사본을 주한 미국대사관저에 영구 게시했고, 이후 부임한 주한 미국대사들이 한·미 관계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했다.

이 휘호는 원래 김구 선생이 1949년 1월 전 주한 미국대사관 소속 외교관 그레고리 핸더슨에게 써준 것이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김구 선생의 자서전 <백범일지>를 미국인의 시각으로 민주주의 관점에서 높이 평가했고, 임기를 마치고 귀국한 후에도 각종 세미나와 인터뷰로 선생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김구 선생이 말씀하신 한·미의 친선 프렌드십(friendsip), 평등 이퀄리티(equality), 호조 코퍼레이션(cooperation)이 어떻게 발전했고 그의 비전이 어떻게 달성됐는지 우리는 생각해야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