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도 얇아졌는데 떡볶이 배달료만 5천원, 누가 먹어요?”

2022. 11. 23. 12: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배달도 줄었다는데, 배달비는 왜 여전히 비싸죠?”

30대 직장인 A씨는 평소 1주일에 최소 3~4회 배달음식을 시켜 먹었지만 최근 배달앱 이용을 한 달에 1~2회꼴로 줄였다. 그나마 직접 가서 포장을 해오거나 한 달에 한 번 통신사가 할인쿠폰을 제공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배달음식을 시킨다. 자주 주문하던 족발집이 최근 물가 상승으로 음식 가격을 올린 데다 비싼 배달료까지 더해져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생활 깊숙이 파고들었던 배달 서비스 이용이 주춤해지고 있다. 물가 상승으로 음식 가격이 오른 데다, 한 번 치솟은 비싼 배달료는 전체 배달이 줄었는데도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배달 음식 주문에 대한 부담이 커지자 배달비라도 줄이기 위해 직접 포장하는 이용자가 늘었다. 급기야 배달앱을 아예 삭제하는 등 배달앱에 지갑을 닫은 소비자들이 적지 않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처우 개선을 위해 배달료를 인상해 달라는 배달 기사들의 요구도 이어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배달료 부담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 건물 앞에 배달 오토바이가 세워져 있다. 임세준 기자

배달앱 이용자가 줄고 있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배달앱 3사(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의 10월 월간 이용자 수(MAU)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1% 감소(3391만→3023만명)했다. 매달 성장을 거듭했던 것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역성장이다.

쿠팡이츠의 월간 이용자 수는 1년 사이 33%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요기요도 같은 기간 776만명에서 667만명으로 14% 줄었고, 배달의민족은 2070만명에서 1992만명으로 3.8% 감소하는 등 배달앱 3사가 일제히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배달앱 이용이 급감하면서 배달 현장에서는 ‘콜사(Call+死)’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배달주문(콜) 횟수가 줄어들다 못해 아예 끊겼다는 의미다.

경기침체와 함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외식과 약속이 늘어나면서 음식배달 수요가 급감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배달 오토바이 [임세준 기자]

배달앱 시장이 급격한 침체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배달플랫폼 종사자의 처우 문제까지 수면 위로 올라왔다. 수익이 예전만 못하기 때문이다. 호황기 배달 기사들의 수입이 한 달 400만~500만원에 달했다. 하지만 지금은 월 200만원도 힘들다는 푸념이 나온다. 너도나도 뛰어들었던 배달 기사일을 그만두는 이탈 움직임도 나타났다. 올 하반기 배달기사는 올 초와 비교해 10만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실제 온라인상에는 배달 수단인 오토바이가 중고 매물로 대거 올라오기도 했다. 음식배달을 접고 업계를 떠나는 배달 기사가 많다는 의미다.

배달료 인상을 놓고 파업까지 예고되고 있다. 라이더유니온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조로 구성된 ‘쿠팡이츠 공동교섭단’은 2022 카타르월드컵 한국과 우루과이의 경기가 열리는 24일부터 파업을 선언했다. 한국의 월드컵 첫 조별리그 경기일에 배달거부 형식으로 파업을 하기로 한 것이다.

공동교섭단은 쿠팡이츠에 ▷기본배달료 2500원에서 4000원으로 인상 ▷거리 할증 ▷명절 상여금 15만원 ▷영업용 보험료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기본 배달료 인상 등을 통해 라이더들의 안정적인 소득 체계를 보장해달라는 것이다.

배달 오토바이 [임세준 기자]

하지만 배달플랫폼업체들도 배달료 인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급성장한 배달 시장이 침체기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그동안 배달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여론도 컸다. 자영업자인 음식점주에게도 배달료 인상은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배달비 인상은 고객뿐 아니라 자영업자인 음식점주에게도 큰 부담을 줄 수 있는 사안으로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쿠팡이츠 라이더들의 파업이 향후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그동안 배달료 등에 대한 소비자와 자영업자의 피로도가 누적된 상황에서 최근 물가 급등으로 소비심리가 빠르게 둔화되고 있는 만큼 당분간 배달앱 시장도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joz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