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에 단기외채비율 41%...달러빚부담 여전

연지안 2022. 11. 23.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올해 3·4분기 단기외채비율이 41%를 기록했다.

단기외채비율이 40%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2년 3·4분기(41.6%) 이후 전분기(41.9%)에 이어 두번째다.

실제 단기외채는 3·4분기 6314억달러로 전분기보다 190억달러 줄었다.

전분기보다 215억달러 줄어든 것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4·4분기 384억달러 감소한 이후 13년9개월만에 최대폭으로 줄어들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은, '2022년 3·4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 발표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올해 3·4분기 단기외채비율이 41%를 기록했다. 전분기에 이어 약 10년만에 40%대를 또 넘었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에 단기차입금이 감소했지만 강달러에 외환보유액 총액인 준비자산 역시 줄어들면서 달러 빚 부담은 지속됐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3·4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3·4분기 대외지급능력을 나타내는 단기외채비율이 41%를 기록했다. 단기외채비율이 40%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2년 3·4분기(41.6%) 이후 전분기(41.9%)에 이어 두번째다. 다만 전분기보다는 0.9%p 소폭 하락했다.

단기외채비율은 외환보유액의 총액인 준비자산 대비 1년안에 갚아야할 단기외채의 비율을 나타낸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100%를 넘었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78%선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점차 줄어들었다. 그러나 달러 강세 속에 10년만에 40%대가 두 분기째 이어졌다.

유복근 한은 경제통계국 국외투자통계팀 팀장은 "예금취급기관의 단기차입금이 감소하면서 단기외채비율도 전분기보다 소폭 감소했다"며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거주자들의 해외투자수요가 둔화되고 차익거래요인이 축소되면서 외국인들의 투자수요도 일부 둔화하며 단기차입금이 줄었다. 외채건전성 측면에서 지난 2·4분기보다 개선이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단기외채는 3·4분기 6314억달러로 전분기보다 190억달러 줄었다. 이는 지난 2011년 3·4분기 158억 감소한 이후 11년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외채건전성을 나타내는 단기외채비중(단기외채/대외채무)도 26.8%로 전분기보다 1.0%p 하락했다.

다만 외환보유액을 나타내는 준비자산 역시 4168억달러로 축소돼 2020년 2·4분기 4108억달러 이후 2년3개월만에 가장 적었다. 전분기보다 215억달러 줄어든 것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4·4분기 384억달러 감소한 이후 13년9개월만에 최대폭으로 줄어들었다. 전체 외환보유액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달러 강세에 준비자산도 감소하며 단기외채비율은 40%대를 이어갔다는 평가다.

이런 가운데 3·4분기말 대외금융자산은 2조829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 대비 406억달러 감소한 것으로 두 분기 연속 줄었다. 대외금융자산은 국내 투자자가 해외 금융상품을 사거나 기업이 해외에 직접투자를 한 금액이다.

글로벌 주가 하락이 이어지고 미국 달러화 대비 주요국 통화가치도 하락하면서 거주자의 증권투자(7071억달러)가 352억 달러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올해 3·4분기중 미국 다우존스지수(DJIA)는 6.7% 하락하고 나스닥지수(NASDAQ)도 4.1% 하락했다. 유럽연합(EU)과 일본의 종합주가지수도 각각 4.0%, 1.7% 하락하고 중국과 홍콩의 경우 각각 22.9%, 21.2% 크게 하락했다.

미 달러화 대비 각국 통화가치 역시 3·4분기중 약세를 나타냈다. 유로화가 6.5% 약세를 보이고 일본엔화도 6.2%, 중국 위안화 역시 5.9% 약세였다.

3·4분기말 대외금융부채도 1조2969억달러로 전분기말보다 826억달러 감소했다. 3분기 연속 줄어든 것으로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를 중심으로 감소했다. 3·4분기중 국내 종합주가지수(KOSPI)가 2155.5로 전분기 대비 7.6% 하락하고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1434.8원으로 9.9% 크게 절하된 영향이다.

이에 따라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7860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분기말보다 419억달러 증가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