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초읽기…광주·전남 물류 비상

변재훈 기자 2022. 11. 23. 10: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화물연대 소속 광주·전남조합원들도 오는 24일 총파업에 대거 동참할 것으로 보여 물류 차질이 우려된다.

화물연대 광주·전남지부 관계자는 "새로운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니다.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함께 적용 품목·차종 확대 등을 꾸준히 요구해왔다. 6월 총파업 철회 당시 합의 사항을 이행해달라는 것이다"며 "정부안처럼 3년 연장을 하면 그 때가서 또다시 갈등이 빚어질 것이 뻔하다. 미봉책에 불과하다"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광주·전남 조합원 3500여 명 이상 '운송거부' 동참 추산
긴급 출하에 원료·야적장 추가 확보…피해 최소화 대비

[의왕=뉴시스] 김종택 기자 = 화물연대 총파업을 이틀 앞둔 22일 경기도 의왕 내륙물류기지(ICD)에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화물차량들이 운행하고 있다. 2022.11.22. jtk@newsis.com


[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화물연대 소속 광주·전남조합원들도 오는 24일 총파업에 대거 동참할 것으로 보여 물류 차질이 우려된다.

23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광주·전남지부에 따르면, 현재 조합원은 광주 1500여 명, 전남은 2800여 명에 이른다.

광주에서는 1000여 명 이상, 전남은 '총력 투쟁'을 선포하며 2500여 명이 물류 운송 거부에 동참할 것으로 점쳐진다.

의약품·코로나19 백신, 수출 물량 등 일부 긴급 운송 물량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화물차가 멈춰설 것으로 화물연대는 전망하고 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전면 폐지·확대를 줄곧 주장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과로·과속 등을 막기 위해 화물 노동자에게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하고, 그보다 적은 돈을 주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다. 지난 2020년 3년 일몰제로 도입돼 올해 말 종료를 앞두고 있다.

정부·여당이 긴급 당정협의회를 열고 안전운임제 일몰 기한을 3년 연장하기로 했지만, 화물연대는 일몰제 폐지가 아닌 연장은 "악법"이라고 반발하며 예정대로 총파업을 강행할 계획이다.

지난 6월 7일부터 8일간 벌인 총파업 이후 5개월여 만에 다시 운송 거부에 나선 것이다.

화물연대 광주·전남지부 관계자는 "새로운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니다.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함께 적용 품목·차종 확대 등을 꾸준히 요구해왔다. 6월 총파업 철회 당시 합의 사항을 이행해달라는 것이다"며 "정부안처럼 3년 연장을 하면 그 때가서 또다시 갈등이 빚어질 것이 뻔하다. 미봉책에 불과하다"라고 밝혔다.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10일 오후 광주 서구 기아자동차 제1공장 남문에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광주본부 소속 화물운수 노동자들이 총파업 승리 결의대회에 참석해 피켓을 흔들고 있다. 2022.06.10. leeyj2578@newsis.com

제조·물류업체들은 6월 파업 당시처럼 주력 상품 출하와 해운·육상 물류 운송에 차질이 빚어질까 걱정하고 있다.

이날 오전 기준 여수·광양항 선적 부두 내 장치 컨테이너 장치율은 63%로 지난 한 달 평균 장치율 65%와 비슷하거나 다소 낮아졌다.

국토교통부 등 항만 당국은 수일 전부터 화주·운송사에 긴급 수출·입 물량 선적을 안내했다. 또 파업 여파 최소화를 위해 선적·환적량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여수국가산업단지 입주 석유화학제조업체들도 품목별로 물류 운송에 차질이 없도록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다.

한 화학산업 기업은 파업기간 중 긴급 배차 물량을 최대한 확보하는 한편, 상품 조기 출하를 통해 야적·재고 물량을 최대한 비우고 있다.

다른 제조기업은 반도체 생산 원료가 되는 제조물량을 중심으로 조기 운송하거나 생산과 동시에 출하가 진행되는 액상 화학제품을 긴급 출하하는 데 힘쓰고 있다.

또 다른 입주기업들도 야적장 추가 임차, 원료 납품일정 조정 등 후속 대책에 힘쓰고 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역시 파업 여파로 인한 생산·출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총파업 이틀째인 8일 오후 광주 서구 기아차 공장에서 협력업체 직원들이 카캐리어차량에 실리지 못한 완성차량을 직접 운전해 광산구 평동산단 출하장으로 옮기고 있다. 2022.06.08. leeyj2578@newsis.com


지난 파업 당시 '고육책'으로 개별 도로 운송(로드 탁송)까지 했던 기아자동차 광주공장도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파업 기간 중 완제품 물량이 공장 내에 적체돼 생산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차량 야적장을 최대한 확보할 방침이다. 접근성이 좋고 드넓은 유휴부지를 확보했거나 협의하고 있다.

지역 한 기업 관계자는 "파업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다양한 피해 최소화 대책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물류가 오랜 기간 막히면 이마저도 소용이 없다. 고객사·협력사를 비롯해 산업계 전반에 피해가 막심할 것이다"면서 "정부와 화물연대 노조가 원만하게 타협해 최악의 상황까지는 가지 않길 바란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wisdom2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