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이프랜드’ 글로벌 공략…북미·유럽 등 49개국 출시

조진호 기자 2022. 11. 23. 09:4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T의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가 글로벌 공략에 나섰다.

SKT는 지난해 7월 첫선을 보인 이프랜드를 북미와 유럽, 중동, 아시아 등 49개국에 동시 출시한다고 23일 밝혔다. SKT는 이프랜드 글로벌 진출과 동시에 K팝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다양한 해외 파트너들과 공동 콘텐츠를 개발하고, 서비스 내 소통 기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등 이프랜드를 글로벌 소셜 메타버스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The New Way of Socializing’(여러 사람과 어울리는 새로운 방식)을 슬로건으로 한 이프랜드의 글로벌 버전은 영어와 중국어(번체·간체), 일본어를 지원하며, 안드로이드와 iOS 버전으로 출시된다.

글로벌 버전은 기존 이프랜드 앱에서 국내·외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며 한국에서 접속하면 한국 설정으로, 해외에서 접속하면 글로벌 설정으로 실행된다.

SKT는 이프랜드의 글로벌 시장 안착을 위해 대륙별로 주요 통신 사업자, 해외 대학, 글로벌 브랜드 등 다양한 파트너와 제휴해 지역 특화 기능을 개발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덴마크의 패션 기업 비르거 크리스텐슨과 제휴를 통해 파티 의상 등 주요 의상을 만들어 MZ 세대 이용자들이 이프랜드 안에서 개성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프랜드 글로벌 라운지에서 다양한 인종의 아바타들이 덴마크 패션 기업 ‘비르거 크리스텐슨’의 디지털 의상을착용하고 있는 모습. |SKT



SKT는 글로벌 버전 출시에 맞춰 아바타의 피부색을 다양화했고, 모임 개설자와 참여자 간 활발한 소통을 위해 1:1 DM(직접 메시지)과 실시간 투표 등의 기능을 신설하는 등 이프랜드 주요 기능의 갱신을 진행했다.

아울러 해외 K팝 팬을 위한 ‘더 팬 라이브 토크온’, K팝 연습생 글로벌 오디션 같은 다양한 K팝 라이브 콘텐츠를 매주 선보이며 이용자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프랜드의 누적 이용자 수는 3분기 기준 약 1280만 명이다.

양맹석 SK텔레콤 메타버스CO(컴퍼니)장은 “국내를 넘어 유럽, 미국, 중동, 동아시아 등 세계 무대에서도 K-메타버스의 저력을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조진호 기자 ftw@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