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1일, '유통기한→소비기한' 달라지는 점은?

연희진 기자 2022. 11. 23. 06: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8년 만에 유통기한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내년부터는 유통기한 대신 실제로 섭취 가능한 소비기한이 표시된다.

두부는 현재 유통기한이 14일이지만 개봉하지 않고 냉장 보관했을 때 소비기한은 90일 더 늘어난다.

유통기한 표시 생략이 가능한 식품은 소비기한이 도입되더라도 소비기한 표시가 의무는 아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 - 유통기한? 소비기한? ③] "달걀은 물에 뜨면, 우유는 냄새나면 버려야"

[편집자주]38년 만에 유통기한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식품 폐기물을 줄이고 소비자에게 섭취 가능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유통기한은 판매·유통이 허용되는 기한으로 실제로 먹을 수 있는 기간과는 차이가 있다. '유통기한이 지나면 버려야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내년부터는 표시기한 초과 시 반드시 버려야 하는 소비기한이 표시된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은 어떻게 다르며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2023년부터 우유류 등을 제외한 식품에 소비기한이 적용된다. 서울 한 대형마트에 우유 제품이 진열돼 있다./사진=뉴스1
◆기사 게재 순서
①연간 20조 가치 쓰레기통에… 38년 만에 사라지는 유통기한
②두부 2주→3개월·식빵 3일→3주로… '소비기한' 잡음 없나
③2023년 1월1일, '유통기한→소비기한' 달라지는 점은?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당장 버려야 할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소비자에게 판매 가능한 기한'이기 때문이다. 내년부터는 유통기한 대신 실제로 섭취 가능한 소비기한이 표시된다. 소비기한은 섭취의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하고 꼭 지켜야 한다.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바뀌면 얼마나 더 오래 먹을 수 있을까. 제품별로 편차가 크다. 다만 적절하게 유통·보관됐을 때를 조건으로 한다. 소비기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식품별 보존·유통 온도를 철저히 지키는 것이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냉장 보관 기준은 0~10도, 냉동 보관은 영하 18도 이하, 상온은 15~25도, 실온은 1~35도 등이다.

현재 45일인 달걀의 유통기한은 소비기한을 적용하면 70일로 늘어난다. 유통기한이 지나면 신선도가 떨어지지만 섭취 시 안전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달걀은 물에 넣었을 때 물 위로 뜨면 버려야 한다.

두부는 현재 유통기한이 14일이지만 개봉하지 않고 냉장 보관했을 때 소비기한은 90일 더 늘어난다. 유통기한이 3일밖에 되지 않는 식빵은 밀봉 후 냉장 보관했을 때 20일은 더 먹을 수 있다. 슬라이스 치즈는 유통기한이 6개월이지만 소비기한이 도입되면 70일 더 늘어난다.

우유의 유통기한은 14일이다. 소비기한은 이보다 45일이 더 길다. 단 미개봉 및 냉장 보관이 전제이며 유형에 따라 소비기한이 달라지기도 한다. 지방 함량이 높은 우유라면 소비기한이 더 짧아질 수 있다. 냄새를 맡았을 때 시큼한 냄새가 나거나 개봉하지 않았는데 용기가 부풀었다면 섭취하면 안 된다.

우유류는 냉장 보관 기준이 까다로워 다른 품목보다 8년 늦은 2031년부터 소비기한이 시행된다. 우유에는 유익균을 포함한 일정 균이 살아 있어 소비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지면 변질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식품에는 ▲제조일자 ▲유통기한 ▲품질유지기한 ▲소비기한 등 날짜표시가 필요한데 이 가운데 유통기한을 생략할 수 있는 식품도 있다. 설탕, 빙과류, 껌류, 주류 등이 이에 해당한다. 유통기한 표시 생략이 가능한 식품은 소비기한이 도입되더라도 소비기한 표시가 의무는 아니다.



술은 유통기한 없다고요?



편의점에 맥주가 진열돼 있다./사진=뉴스1
유통기한 표시를 생략할 수 있는 식품 중 대표적인 게 주류다. 보통 알코올 도수가 18도 이상이면 세균이 번식할 수 없어 표시를 생략한다. 하지만 맥주, 탁주, 약주는 유통기한을 표시해야 한다.

맥주는 유통기한이 아닌 제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되는 품질유지기한을 표시한다. 맥주의 품질유지기간은 캔·병맥주는 10개월~1년, 페트는 6개월이다.

추가 발효가 일어날 수 있는 탁주와 약주는 유통기한이 있다. 막걸리 등 탁주는 유통기한이 짧은 편이다. 살균막걸리는 제조일로부터 1년, 생막걸리는 10~30일이다. 냉장 보관 기준이며 실온 보관 시 5일가량으로 짧아진다. 약주의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90일이다.

[머니S 주요뉴스]
"키다리 아저씨"… 스포츠 지원에 진심인 총수들
선우은숙 180억 놓쳤다?… "빚 내야 부자 돼"
"한소희랑 똑같아"… 이유정 실물, 이 정도야?
1주택자, 서울 84㎡ 청약 기회 생겼다… 당첨 확률은?
"내 근로계약서 봤나"… 옥순, 루머 뭐길래?
'99억 건물주' 김나영, ♥마이큐와… '밤 산책'
제이미♥구민철 열애… '당당' 럽스타그램 "행복"
"연정훈이 도둑?"… 한가인, 김연아♥고우림 언급
"생활비 2억 달라"… '구준엽♥' 서희원 전 남편 위기?
전 세계 홀린 정국에 일본 '열폭'… "현대차 입김 탓"

연희진 기자 toyo@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