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 수수료 부담 가능’…동백전 예산 확대 제안

강예슬 2022. 11. 22. 21: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 [앵커]

지역 화폐 예산이 삭감돼 '동백전 활성화'에 대한 우려가 계속해서 나오는데요.

동백전 가맹점주 10명 중 9명은 '동백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했고, 일부는 동백전 활성화를 위해 '수수료까지 부담할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강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비 전액 삭감으로 내년 예산이 올해보다 60% 이상 줄어든 동백전.

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가 부산의 동백점 가맹점 7만 천 여 곳 중 7백 여 곳을 무작위로 뽑아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가량이 인센티브 축소 이후, 이용 고객이 줄었고, 매출도 줄었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11%는 고객은 줄지 않았으나, 매출은 줄었다고 답해 전체 가맹점의 88%가량이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백전 가맹점주 10명 중 7명은 동백전이 계속 이어지려면 인센티브가 최소 10%가량은 유지돼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일부 가맹점주들은 동백전 캐시백 확대를 위해 추가 수수료를 부담할 수 있다고도 답했습니다.

가맹점에게 추가 수수료 2% 정도를 부담해 고객에게 인센티브를 준다면, 응답 가맹점주의 30% 이상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답했고, 52%는 구체적 정책 방향을 보고,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전혀 참여할 생각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9%에 그쳤습니다.

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는 인천이 가맹점주 수수료를 걷고, 구·군 예산으로 캐시백을 늘린 것처럼, 부산도 동백전을 활성화하자고 말합니다.

[송지현/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 정책위원장 : "(인천은) 최고 17%까지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부산도 기초지자체와 소상공인들이 연동해서 부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다면 충분히 국비 예산이 없어도…."]

부산시도 상인들의 이 제안에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전선임/부산시 소상공인지원과장 : "(앞서) 시범사업을 통해서 이제 시스템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저희가 확인을 했고, 이번 설문 조사 결과를 봤을 때 앞으로 우리 부산시가 상인과 같이 중층구조를 만드는 데 고무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로 생각합니다."]

국비 전액 삭감이라는 최악의 상황에서, 민관이 머리를 맞대고 동백전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촬영기자:한석규/영상편집:이동훈/그래픽:김소연

강예슬 기자 (yes365@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