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신설 경쟁 치열…경남은 ‘이제 시작’

손원혁 2022. 11. 22. 21: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창원] [앵커]

창원에 의과대학을 신설하는 관련 법안이 21대 국회 때 발의됐지만, 아직 상임위에 계류 중입니다.

어제 국회에서 전남권의대특별법이 상정되는 등 전라남도 정치권과 지역사회가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경남도 발 빠른 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제 열린 국회 교육위, 전남권의대특별법이 상정됐습니다.

광역단체 가운데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에 의대를 만들자는 법입니다.

오랜 숙원 사업 해결을 위해 전남지역 정치권과 광역-기초자치단체, 대학이 발 벗고 나선 겁니다.

[소병철/국회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갑) : "많은 전남도민은 적시에 필요한 진료를 받지 못해 불편과 희생을 강요당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우리 국회가 하루라도 빨리 (차별을 시정해서...)"]

경남과 분위기가 사뭇 다릅니다.

경남은 전남보다 앞선 21대 국회 때 창원에 의대를 신설하는 관련 법안 2개가 당시 박완수, 강기윤 국회의원에 의해 각각 발의됐지만 논의가 중단된 채 상임위에 계류 중입니다.

지역사회 여론도 만들어내지 못했습니다.

경상남도는 이르면 내년부터 의대 정원 확대 논의가 다시 이뤄질 수 있다고 보고 의대 신설 추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백종철/경상남도 보건행정과장 :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중에서 의대가 없는 곳이 창원밖에 없습니다. 우리 도에 필요한 의사가 어느 정도 필요한지, 이런 어떤 논리를 개발하려고 하고요."]

2006년 이후 17년째 3천여 명으로 동결돼 있는 의학대학 정원, 정부가 2년 전 400명 증원을 발표했다가 의사단체 반발로 논의를 멈췄습니다.

인구 십만 명당 의대 정원은 경남이 2.3명으로 전국 평균 6.3명보다 낮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3위입니다.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도 경남은 11위로 열악합니다.

[박영호/창원대 기획처장 : "합리적인 가장 최고의 모델을 하나를 정하고 정치권, 모든 구성원이 하나의 목소리를 낸다면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의료 서비스 격차 해소뿐 아니라 바이오산업 등 산업 관점에서도 지역 의대 신설과 증원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박민재/그래픽:박부민

손원혁 기자 (wh_son@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