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망 얼룩 고양이로 다시 태어나고 싶은 ‘해방촌 수호시인’

김용출 2022. 11. 22. 20: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황인숙 새 시집 ‘내 삶의 예쁜 종아리’
38년 지켜본 해방촌
신흥시장엔 억센 장터 여인들 삶 존재
산동네 해방촌엔 힘든 오르막이 많아
지름길은 모두 오르막이란 진리 깨쳐
캣맘 아닌 캣테이커
15년이 넘도록 고양이 밥 주며 살아와
삶도 밥 주는 시간 중심으로 빙빙 돌아
고양이 밥집서 보거든 모른 척 해주길
“얘!”

젊은 시인 황인숙이 밖으로 나가기 위해 건물 좁은 계단을 내려오고 있었다. 이때 바로 아래층에 살고 있던 한 아줌마가 말을 걸어왔다. 오랫동안 시장에서 야채를 팔던 여성이었다. 다소 통통한 체격에 얼굴색이 조금 까무잡잡해 보이는 순하고 선한 인상이었다.

“너, 시 쓴다며?” 황 시인은 깜짝 놀랐다. 아직 이십대로 세상 물정을 잘 알지 못하던 그녀에게 40대 야채장사 여성은 그냥 아줌마였다. 억척스러운 모습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시와 인연 있을 것 같지도 않던 아줌마였다. 자신의 가슴 한쪽에서 뭔가 찌르르한 느낌이 들었다. 아줌마가 말을 이었다. “나는 네가 노래하는 줄 알았어.”

황 시인은 당시 야채장사 바로 위층에 살면서 주로 책을 읽거나 가끔 소리를 빽빽 질러가며 노래를 부르곤 했다. 내 노래 소리가 아래층까지 들렸다니. 시인은 이때 처음 시장 사람들에 대해 각성하기 시작했다.
해방촌에서 고양이와 살고 있는 황인숙 시인이 신작 시집을 펴냈다. 그녀는 “노숙인이나 쪽방촌 사람들이 사는 동자동의 쌈지 공원 등에 스피커를 군데군데 설치해 클래식 음악을 들려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남정탁 기자
신흥시장의 애경이 엄마를 비롯해 해방촌을 중심으로 시장터 여성들이 떠올랐다. 식구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강하게 살아내야 하는 시장의 여인들…. 이와 함께 제도권 교육을 받진 않았지만 지적인 독서가로 후암동에서 고양이 밥을 주는 조정환 할머니의 이야기가 겹쳐지면서 3, 4년 전 한편의 시가 태어났다. ‘장터의 사랑’이었다.
“난 불안도 불면도 없어요/ 세상엔/ 미끄러지고 나동그라지고/ 뒤집힌 풍뎅이처럼 자빠져/ 바둥거리는 맛도 있다우// 누군 죽어 지내는 맛도 있다지만/ 나는 그런 맛 몰라// 무식한 건 무서운 거야/ 벽을 문처럼/ 까부수고 나가는 거야// 난 그렇게/ 이겨왔다우”
중견 시인 황인숙이 ‘장터의 사랑’을 비롯해 시 64편을 묶은 아홉 번째 신작 시집 ‘내 삶의 예쁜 종아리’(문학과지성사)를 들고 돌아왔다. 시집 ‘아무 날이나 저녁때’ 이후 3년 만이다. 38년간 서울 해방촌에 터잡고 살아온 황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도 해방촌의 아스라한 삶과, 이웃들과, 고양이들의 이야기를 인위적인 비틀림이나 의미부여 없이 풀어놓는다.

황 시인에게 해방촌과 그곳 사람들, 고양이들은 어떤 의미일까. 그녀의 문학적 여로는 앞으로 어디로 향해 나아갈까. 황 시인을 지난 16일 서울 후암동 한 커피숍에서 만났다.

―‘장터의 사랑’은 강렬한 시인데.

“장터라는 곳은 치열함이 묻어나는 생활전선이다. 특정인이 있다기보다는 건강하고 당당하게 자기 삶을 헤쳐 나가는 장터의 사람, 제가 보아온 장터 여인을 상정해 쓴 것이다. 신흥시장 속 건물에 살았지만 거의 집 안에만 있거나 시내를 싸돌아다녔기에 시장 사람들을 자세히 알지는 못했다. 건물 아래 상인들을 봤지만, 그곳 상인들이 오히려 저를 더 보고 있었을 것이다. 시장 아줌마들은 시인인 저에 대해 무슨 창을 하는 여자라고 말았는데, 야채장수 아줌마가 너 시 쓴다며 말할 때 어떤 애틋한 느낌이 들었다.”

표제시 ‘내 삶의 예쁜 종아리’에는 해방촌에서 사는 시인의 삶 한 자락이 담겨 있다. 세상의 모든 지름길이란 반드시 오르막이라는 슬픈 진리도 함께. “오르막길이/ 배가 더 나오고/ 무릎관절에도 나쁘고/ 발목이 더 굵어지고 종아리가 미워진다면/ 얼마나 더 싫을까/ 나는 얼마나 더 힘들까// 내가 사는 동네에는 오르막길이 많네/ 게다가 기름길 꼭 오르막이지/ 마치 내 삶처럼”(‘내 삶의 예쁜 종아리’ 전문)

―해방촌에 오르막이 제법 많은 것 같다.

“산동네이니까 당연히 오르막이 많다. 저는 언덕도 좋아하고, 오르막도 좋아한다. 고양이 밥을 주러 매일 거기를 오르내려야 하는데, 아마 유난히 힘든 날이 있었을 것이다. 다들 밥벌이를 위해 열심히 살아도 힘들 것이다. 저는 열심히 살지 않았으니 힘든 것도 당연하고 억울하진 않지만, 그래도 힘든 건 힘든 것이다.”

황 시인은 20년 가까이 고양이들에게 밥을 챙겨주고 있다. 그런데 이게 만만치 않다. 왜냐하면 고양이를 싫어하는 사람들과 맞서야 하기 때문이다. “‘날이 따뜻해지니까 벌레만도 못한 놈들이/ 벌레처럼 기어 나오네!’// 정말이지 나는/ 옹알이하는 젖먹이만큼이나/ 욕을 할 줄 몰랐다/ 지금은 할 줄 아는 게/ 욕밖에 없는 것 같다/ 방금도// 동네 한 바퀴 돌고/ 돌아오는 길에 보니/ 고양이 밥그릇이 사라졌다/ 나는 돌아버렸다/ ‘어디서!’/ 어디선가 숨어서 지켜볼 노인 남자 들으라고/ 나는 목청을 높였다/ ‘어디서 고양이 사료보다도 지능이 떨어진 놈이!/ 번번이!’/ 골목이 떠나가라 소리를 질렀다/ ‘지옥에 떨어질 거야!’/ ‘저승길 편하려면 이렇게 살지 마세요!’/ 근처에서 서성거리다 다가온 고양이들이/ 나 때문에 겁먹고 시무룩해졌다/ ‘그래, 그래, 미안, 미안.’// 아, 이 좋은 봄밤/ 라일라 향기 속에서/ 나는 입에 마른 거품 물고 욕으로 목이 메네”(‘봄의 욕의 왈츠’ 전문)

―고양이 밥주기를 두고 갈등하는 모습이 리얼하다.

“어느 봄날 한 노인이 고양이 밥그릇을 치워버렸다. 노인이 들을지 안 들을지 모르지만, 어디서 숨어서 지켜보겠지, 하면서 욕을 했다. 더 심한 일도 많다. 중성화되고 귀 잘린 고양이들이 한꺼번에 사라지기도 했다. 옆집에서 뻔히 키우는 고양이인데도 약을 놓아서 죽이는 사람도 있다. 혹시 이런 일이 생길까 봐 조마조마해 매일 스트레스 상태다. 고양이에 밥을 줄 때 누가 순한 말을 시키는 것도 싫고, 보는 것도 싫다.”

시집에는 이밖에도 해방촌 주민이나 이웃들의 모습도 수채화처럼 담겨 있다. 지하철역에서 만난 거무튀튀한 외국인 노동자들(‘어둠의 빛깔’)도, 막내딸을 잃고 혼자 지내는 친구 어머니(’어떤 저녁’)도, 치매 판정 받은 여성(‘하얀 복도’)도….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난 황인숙은 198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등단 이후 시집 ‘새는 하늘을 자유롭게 풀어놓고’, ‘슬픔이 나를 깨운다’, ‘리스본행 야간열차’, ‘못다 한 사랑이 너무 많아서’ 등을, 소설 ‘지붕 위의 사람들’, ‘도둑괭이 공주’를 펴냈다. 동서문학상, 김수영문학상, 형평문학상, 현대문학상 등을 받았다. 1986년 해방촌에 들어온 그녀는 2006, 7년쯤부터 고양이들에게 밥을 주면서 ‘고양이들의 수호성인’, ‘캣테이커’(그는 ‘캣맘’이 경멸적으로 쓰이고 있으니 ‘캣테이커’로 불러달라고 부탁했다)로 불린다.

‘삶이 곧 시’가 되고, ‘시가 곧 삶’ 자체인, 그래서 “천상 시인”(나희덕 시인)인 황인숙의 하루 일정은 고양이 밥 주는 시간을 중심으로 빙빙 돌아간다. 그러니까 오후 6, 7시부터 시작해 새벽 3시까지 해방촌 곳곳을 돌며 고양이 밥을 주는 것에 우선적으로 열과 성을 다한다. 그 나머지 시간에 간헐적으로 메모를 하거나, 시를 쓰거나, 잠을 자거나, 사람을 만나거나…. 그리하여 한 곳에서 시작한 고양이 밥집은 서른 군데를 훌쩍 넘어선 반면, 날로 줄어든 수면 시간 탓에 그녀는 늘 졸린 가수면의 포로가 됐다.

만약 어느 저녁 해방촌 일대에서 조용히 고양이 밥을 주는 그녀를 보거든, 생명 사랑의 시를 쓰고 있다고 생각해 모르는 척해주시길. 혹여 고양이에게 밥을 주는 것을 놓고 악다구니가 벌어지더라도, ‘욕의 왈츠’를 추더라도 시의 삶이라고 넓게 혜량해 주시길. 그리하여, 이 가난한 ‘고양이들의 수호성인’이 ‘슬픈 열대’를 무사히 넘어갈 수 있도록 응원해 주시고, 마침내 다음 세상에선 까망 얼룩 고양이로 태어나길 함께 간절히 소망해주시길….

“이 다음에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윤기 잘잘 흐르는 까망 얼룩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내 잠자리는 달빛을 받아/ 은은히 빛나겠지./ 혹은 거센 바람과 함께 찬비가/ 빈 벌판을 쏘다닐지도 모르지./ 그래도 난 털끝 하나 적시지 않을걸./ 나는 꿈을 꾸리라./ 놓친 참새를 좇아/ 밝은 들판을 내닫는 꿈을.”(‘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부문)

김용출 선임기자 kimgij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