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자녀 동거 취업자, 경력단절여성 등)

최해영 기자 2022. 11. 22. 18: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

2. 자녀 동거 취업자 현황가.

자녀연령별 주당 평균 취업시간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5.6시간으로 자녀가 어릴수록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년대비 7~12세 0.6시간, 13~17세 0.5시간, 6세 이하 0.1시간 각각 감소하였음▶ 경력단절여성(미취업자)1. 경력단절여성 규모 및 현황가.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녀 동거 취업자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취업자는 262만 2천명으로 전년대비 1만 6천명 증가

연령별로 보면 40~49세 150만 9천명(57.6%), 30~39세 85만명(32.4%), 50~54세 21만명(8.0%), 15~29세 5만 2천명(2.0%) 순으로 나타났음

교육정도별로 보면 대졸 이상 177만 8천명(67.8%), 고졸 78만3천명(29.9%), 중졸 이하 6만 1천명(2.3%) 순으로 나타났음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57.8%로 전년대비 1.6%p 상승

자녀수별 고용률은 전년대비 자녀 1명(59.7%)은 1.6%p, 자녀 2명(56.6%)은1.8%p, 자녀 3명(52.9%)은 0.4%p 각각 상승하였음

자녀연령별로는 전년대비 막내자녀가 6세 이하(49.0%)는 1.5%p, 7~12세(60.9%)는 1.9%p, 13~17세(66.9%)는 0.8%p 각각 상승하였음

ㅇ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 35.6시간으로 전년대비 0.4시간 감소

자녀연령별로는 전년대비 막내자녀가 6세이하(33.4시간)는 0.1시간, 7~12세(36.2시간)는 0.6시간, 13~17세(37.4시간)는 0.5시간 각각 감소하였음

▶ 경력단절여성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139만 7천명으로 전년대비 5만 1천명 감소

15~54세 기혼여성 810만 3천명 중 미취업여성은 302만 7천명, 이 중경력단절여성은 139만 7천명으로 나타났음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17.2%로 전년대비 0.2%p 하락

연령계층별로 보면, 30~39세 60만명(43.0%), 40~49세 58만 8천명(42.1%), 50~54세 15만 2천명(10.9%), 15~29세 5만 7천명(4.1%) 순으로 나타났음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가 42.8%로 가장 높았음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42.8%), 결혼(26.3%), 임신· 출산(22.7%), 가족돌봄(4.6%), 자녀교육(3.6%) 순으로 높았음

경력단절여성 중 비중이 가장 높은 30~39세의 사유는 육아(47.4%), 임신· 출산(26.3%), 결혼(24.0%) 순으로 높았음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단절여성은 114만 6천명으로 전년대비 3만 8천명 감소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은25.3%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많을수록, 자녀가 어릴수록 비중이 높았음

자녀수별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자녀수가 3명이상(30.0%), 2명(27.5%), 1명(22.4%) 순으로 높았으며, 자녀연령별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6세이하(37.0%), 7~12세(22.0%), 13~17세(12.0%)순으로 높았음
 

2022년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이미지출처 : 통계청)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구성(이미지출처 : 통계청)

자녀 동거 취업자

1. 혼인 상태별 현황

가. 혼인 상태별 여성의 규모


2022년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은 810만 3천명으로 15~54세 여성의58.7%를 차지하였고, 미혼여성은 569만 3천명으로 41.3%를 차지하였음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은 453만 6천명으로기혼여성의 56.0%를 차지하였음

나. 혼인 상태별 여성의 고용률

15∼54세 여성의 고용률은 60.2%로 2.4%p 상승하였으며,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은 57.8%로1.6%p 상승하였음

2. 자녀 동거 취업자 현황

가. 연령계층별 여성 취업자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40~49세150만 9천명(57.6%), 30~39세 85만명(32.4%), 50~54세 21만명(8.0%), 15~29세 5만 2천명(2.0%) 순으로 많았음

전년대비 30~39세(-4만 6천명, -5.1%), 15~29세(-5천명, -9.3%)에서 감소한반면, 40~49세(4만 5천명, 3.1%), 50~54세(2만 2천명, 11.9%)는 증가하였음

나. 교육정도별 여성 취업자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교육정도별로 살펴보면, 대졸이상 177만 8천명(67.8%), 고졸 78만 3천명(29.9%), 중졸 이하 6만1천명(2.3%) 순으로 많았음

전년대비 고졸(-3만명, -3.7%), 중졸 이하(-2천명, -3.7%)는 감소한반면, 대졸 이상(4만 8천명, 2.8%)은 증가하였음

다. 자녀수별 취업자 및 고용률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자녀수별로 살펴보면, 자녀가1명일 때 129만 5천명(49.4%), 2명은 113만 3천명(43.2%), 3명 이상은19만 3천명(7.4%) 순으로 많았음

전년대비 자녀수별 취업자수는 자녀가 2명(-1만 6천명, -1.4%), 3명이상(-6천명, -2.8%)은 감소한 반면, 1명(3만 7천명, 2.9%)은 증가하였음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의 고용률은 자녀가 1명일때59.7%, 2명일 때 56.6%, 3명 이상인 경우 52.9%로 자녀수가 많을수록낮게나타났음

전년대비 고용률은 자녀가 2명일 때 1.8%p, 1명일 때 1.6%p, 3명 이상일때0.4%p 각각 상승하였음

라. 자녀연령별 취업자 및 고용률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자녀연령별로 살펴보면, 7~12세100만 4천명(38.3%), 6세 이하 85만 4천명(32.6%), 13~17세 76만 4천명(29.1%) 순으로 많았음

전년대비 자녀연령별 취업자수는 6세 이하(-3만 9천명, -4.3%), 13~17세(-1만 1천명, -1.4%)는 감소한 반면 7~12세(6만 5천명, 6.9%)는 증가하였음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의 고용률은 자녀가 6세 이하는49.0%, 7~12세는 60.9%, 13~17세는 66.9%로 자녀가 어릴수록낮게나타났음

전년대비 고용률은 7~12세는 1.9%p, 6세 이하는 1.5%p, 13~17세는0.8%p 각각 상승하였음

3. 고용 특성별 현황

가. 산업별 취업자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142만 1천명(54.2%), 도소매·숙박음식점업 52만 5천명(20.0%) 순으로 많았음

전년대비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2만 2천명, 1.6%), 건설업(7천명, 11.0%)은 증가한 반면, 도소매·숙박음식점업(-1만 1천명, -2.1%), 전기·운수·통신·금융업(-5천명, -2.1%)은 감소하였음

나. 직업별 취업자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직업별로 살펴보면, 전문가 및관련종사자 87만 6천명(33.4%), 사무종사자 76만명(29.0%), 서비스종사자30만5천명(11.6%) 순으로 많았음

전년대비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1만 7천명, 2.0%),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1만1천명, 25.0%) 등은 증가한 반면, 판매종사자(-2만 1천명, -6.9%), 단순노무종사자(-4천명, -1.8%) 등은 감소하였음

다.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종사상지위별로 살펴보면, 임금근로자는 216만 6천명(82.6%), 비임금근로자는 45만 6천명(17.4%)으로나타났음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168만 9천명(78.0%), 임시·일용근로자는47만 6천명(22.0%)으로 나타났으며, 전년대비 임시·일용근로자(-3만명), 비임금근로자(-7천명)는 감소한반면, 상용근로자(5만 3천명)는 증가하였음

라. 자녀연령별 주당 평균 취업시간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5.6시간으로 자녀가 어릴수록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년대비 7~12세 0.6시간, 13~17세 0.5시간, 6세 이하 0.1시간 각각 감소하였음

 경력단절여성(미취업자)

1. 경력단절여성 규모 및 현황

가. 경력단절여성 규모


2022년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은 810만 3천명으로 전년대비 22만명(-2.6%) 감소하였음

경력단절여성은 139만 7천명으로 전년대비 5만 1천명(-3.5%) 감소하여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17.2%로 0.2%p 하락하였음

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여성

경력단절여성(139만 7천명)을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30~39세가 60만명(43.0%)으로 가장 많았으며, 40~49세(58만 8천명, 42.1%), 50~54세(15만2천명, 10.9%), 15~29세(5만 7천명, 4.1%) 순으로 나타났음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연령계층은30~39세로 27.8%를 차지하였으며, 50~54세는 7.2%로 가장 낮게 나타났음

미취업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연령계층은30~39세로 63.0%를 차지하였으며, 50~54세는 23.0%로 가장 낮게 나타났음

2. 경력단절 사유

가. 경력단절 사유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별 경력단절여성(139만 7천명) 규모를 살펴보면, 육아 59만 7천명(42.8%), 결혼 36만 8천명(26.3%), 임신·출산 31만 8천명(22.7%)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전년대비 가족돌봄(1만 4천명, 28.7%)은 증가한 반면, 육아(-2만 9천명, -4.6%), 결혼(-2만 9천명, -7.2%), 자녀교육(-6천명, -9.9%), 임신·출산(-3천명, -0.8%)은 감소하였음

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 사유

경력단절여성(139만 7천명)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사유를 살펴보면,

- 15~29세는 육아(40.2%), 결혼(30.9%), 임신·출산(28.3%) 순
- 30~39세는 육아(47.4%), 임신·출산(26.3%), 결혼(24.0%) 순
- 40~49세는 육아(42.1%), 결혼(26.5%), 임신·출산(20.7%) 순
- 50~54세는 결혼(33.1%), 육아(28.1%), 가족돌봄(18.9%) 순으로 나타났음

3. 경력단절 기간

가. 경력단절 기간


경력단절여성(139만 7천명)의 경력단절 기간을 살펴보면, 10년 이상은57만 2천명(41.0%), 5~10년 미만은 35만 7천명(25.5%), 3~5년 미만은19만 8천명(14.1%), 1~3년 미만은 15만 2천명(10.8%), 1 미만은11만9천명(8.5%) 순으로 나타났음

전년대비 경력단절 기간별 3~5년미만(1만 1천명, 5.8%)은 증가한 반면, 1~3년미만(-2만 1천명, -12.4%), 1년미만(-1만 8천명, -13.4%), 5~10년미만(-1만 4천명, -3.8%), 10년이상(-8천명, -1.4%)은 감소하였음

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 기간

경력단절여성(139만 7천명)의 경력단절 기간을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 15~29세는 3~5년미만(30.9%), 1~3년미만(28.6%) 순
- 30~39세는 5~10년미만(35.6%), 3~5년미만(20.9%) 순
- 40~49세는 10년이상(59.4%), 5~10년미만(20.7%) 순
- 50~54세는 10년이상(77.0%), 5~10년미만(7.3%) 순으로 나타났음

4.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단절여성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453만 6천명 중 경력단절여성은114만 6천명으로 경력단절여성비율은 25.3%로 나타났음

18세 미만 자녀수별 경력단절여성 규모를 살펴보면, 자녀수 2명이 55만 1천명(48.1%)으로 가장 많았으며, 1명 48만 5천명(42.3%), 3명 이상 11만명(9.6%) 순으로 나타났음

18세 미만 자녀연령별 경력단절여성 규모를 살펴보면, 6세 이하가 64만 6천명(56.3%)으로 가장 많았으며, 7~12세 36만 3천명(31.7%), 13~17세 13만 7천명(12.0%) 순으로 나타났음

최해영 기자 news@wedding21news.co.kr

Copyright © 웨딩21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