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치잡이 낚싯줄에 전기충격장치 달아 상어·가오리 혼획 예방

엄남석 2022. 11. 22. 15: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상어는 종종 인간도 공격하는 포악한 성격을 갖고 있지만 바다의 먹이사슬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종이기도 하다.

이런 상어가 일부 종은 멸종위기로 몰릴 정도로 급감해 우려를 사 왔는데, 참치잡이 낚시 미끼를 물어 엉뚱하게 남획되는 것만이라도 피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돼 관심을 끌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입 주위 전류 민감부위 활용…다이버 상어 퇴치용 장치 응용
참치잡이 낚싯줄에 매단 샤크가드 [Current Biology, Rob Enev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상어는 종종 인간도 공격하는 포악한 성격을 갖고 있지만 바다의 먹이사슬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종이기도 하다.

이런 상어가 일부 종은 멸종위기로 몰릴 정도로 급감해 우려를 사 왔는데, 참치잡이 낚시 미끼를 물어 엉뚱하게 남획되는 것만이라도 피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돼 관심을 끌고 있다.

영국 엑시터대학 연구진은 '혼획'(bycatch) 예방 상품을 개발해온 '피시텍 머린'(Fishtek Marine)이 내놓은 상어 보호장치 '샤크가드'(SharkGuard)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발표했다.

샤크 가드는 미끼 근처의 낚싯줄에 달아 소형 배터리로 전기장을 만듦으로써 상어의 코와 입 주변에 몰려있는 '로렌치니 팽대부'라는 전류에 민감한 부위를 자극해 미끼를 물지 않고 물러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어의 공격을 물리치기 위해 스쿠버 다이버가 활용하는 장치를 응용한 일종의 전기충격기인 셈이다.

이를 참다랑어 주낙(延繩) 낚싯줄에 달아 시험한 결과, 혼획되는 청새리상어는 91%, 상어와 같은 연골어류인 가오리는 71%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참다랑어 어획량도 42%가량 줄어들었는데, 샤크 가드를 이용할 때와 이용하지 않았을 때 모두 어획량이 줄어든 만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샤크가드 성능 시험은 지난해 7, 8월에 프랑스 남부 바다에서 어선 두 척이 총 11차례 출어해 1만8천개 이상의 미끼를 활용해 진행됐다.

미끼에 접근하다 샤크가드 전류에 놀라 달아나는 상어 [엑시터대학 제공 동영상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엑시터대학 생태계보존센터의 필 도허티 박사는 "많은 상어와 가오리가 낚싯줄을 이용하는 주낙으로 남획되고 있다"면서 매년 수백만 마리의 상어와 가오리를 죽일 뿐만 아니라 어부의 시간과 돈을 허비하게 하는 혼획을 시급히 줄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바다에서 어획 대상이 아닌 어종이 잡히는 혼획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해온 피시텍 머린 측은 샤크 가드를 소형화하고 낚싯줄을 끌어 올릴 때 자동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장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했다.

엑시터대학의 브렌단 고들리 교수는 "샤크 가드는 아직 추가적인 시험과 개발이 필요하지만 주낙 어업의 지속가능성에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있다"고 지적했다.

eomn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