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썸바디’ 정지우 감독 “김영광을 사랑하며 찍은 작품” [EN:인터뷰②]

이민지 2022. 11. 22. 11: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넷플릭스 제공

[뉴스엔 이민지 기자]

※ 스포일러가 일부 포함돼 있습니다

지난 11월 18일 첫 공개된 넷플릭스 시리즈 '썸바디'는 애정, 집착, 살의의 하모니를 그려낸 서스펜스 스릴러다.

소셜 커넥팅 앱 '썸바디'를 매개로 살인사건이 벌어지면서 개발자 김섬(강해림 분)과 그녀 주변의 친구들이 의문의 인물 윤오(김영광 분)와 얽히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영화 '해피엔드', '은교', '유열의 음악앨범' 등을 연출한 정지우 감독은 '썸바디'를 통해 첫 시리즈 연출에 도전했다.

- 김영광은 로맨틱 코미디 이미지가 강했는데 어떻게 이 역할을 제안했나 ▲ 나는 로맨틱 코미디에서도 아주 믿음직스러운 연기를 했다고 생각한다. 로맨틱 코미디의 클리셰 매력인 멋진 남자도 있다. 그런데 과가 좀 다르게 굉장히 사실적인 로맨틱 코미디 연기가 좋았고 관객들도 그것을 좋아했다고 나는 생각했다. 그래서 김영광 배우가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다 생각했고 서로 사전 단계에서 여러가지 시도, 대화를 해봤다. 무궁무진하게 여러가지를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앞으로 관객으로 그가 뭘 할지 기대된다.

- 김영광에게 전라 노출을 이야기 했었나 ▲ 당연하다. 이제 시대가 노출 관련 촬영에 관련된 것은 이런 계획이 있고, 그것을 어떻게 찍을 것인지 자세히 길게 이야기 한다. 그러지 않으면 문제가 되는 시대다. 김영광 배우에게도 누누히 이야기 했다.

- 신예 배우를 써야겠다는 생각을 한 이유는? ▲ 굉장히 많은 신인들과 기존 배우들을 만나는 과정에서 익숙하게 하기보다 낯설 수 있지만 다 던질 수 있는 것 같은, 몰입감이 높은 작업과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게 나에게 중요했다. 김영광 배우 같은 경우는 갈증이 있어 보였다. 모험을 해보고 싶은. 그런 것들이 어우러졌다.

- 강해림의 어떤 면에 끌렸나 ▲ 정말 '고유'했다. 고유한 사람을 만난 게 좋았다. 이 사람은 굉장히 천천히 판단한다. 세상 만사를 그런 것 같다. 빠르고 재치있는 사람이 멋지지만 이 사람은 천천히 판단한다. 강해림 배우는 그런 사람으로 캐릭터는 더 느리게 판단하는 캐릭터를 만든 것 같다. 어떤 면에서 '이 사람 왜 이러지? 어떻게 하려고 하지?' 하는데 끝까지 가보면 이해할 수 있는 구조가 됐다. 고유했고 사람이 너무 매력적이었다.

- 배우의 연기력과 매력, 어떤 점에 더 끌리는 편인가 ▲ 내가 이 뜨거운 화두에 가설을 가지고 있다. 혹시 이런건 아닐까. 과거에는 정말 빼어난 연기력, 정말 빼어난 외모를 가진 사람들이 무슨 역할을 해도 그 재미로 영화를 보고 드라마를 봤다 생각한다. 지금은 정말 찰떡 같이 잘 어울리는 사람이 그 역할을 하고 있는 이야기를 볼 수 있는 상황이 된 건 아닐까. 여전히 표를 사는 건 어렵지만 OTT라면 그런 가설이 있다. 정말 잘 어울리는 사람이 그걸 잘 해내면 그것만큼 좋은 것이 없는 것 아닐까 하는 가설로 혹시 오디션에서 '얼마나 잘 해?', '얼마나 준비됐냐'는 질문 보다 '당신 누구세요?'라고 묻고 그 사람이 누군지 알겠는 사람을 캐스팅 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그 균형 사이에서 잘 버텨보려고 한다. 소위 말해 전통적으로, 기능적으로 아주 능수능란한 연기를 한다는 것이 전보다는 더 조심스러워졌다. 그것이 능사라고 인정이 안 된다. 그런 면에서 강해림 배우가 가진 고유함을 잘 꽃받침해서 가져갈 수 있는가, 나는 잘 버틸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을 스스로 했던 것 같다.

- 등장 인물을 아름답게 담는데 이번엔 어떤 인물의 아름다움에 중점을 뒀냐 ▲ 김영광 배우를 사랑하면서 찍었다. 그가 그저 무섭기만 한 사람으로 비치면 실패했다 생각한다. 저 사람하고 잘 못되면 압사 당할지도 모른다는 장면을 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기회가 된다면 저 사람을 만나보고 싶은데'라는 기분을 줄 수 없을까 하는 목표가 있었다. 그 사이를 넘나들 수 없을까 하는 목표를 가지고 만들었다. 싫고 소름돋는 기분으로 완전히 넘어가지 않으려고 하는 노력을 했다.

- 그런 면에서 윤오에 대한 기은의 마음이 궁금하다 ▲ 기은이 그를 만나러 가는 전날 밤과 8화 마지막 장면을 설명 드리고 싶다. 어느 순간 중독된 것 아닐까. 정말 인생에 잊을 수 없는 순간을 겪은 후 공포와 두려움으로는 멀리 떨어져야 하는데 완전히 손에서 떼어낼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묘사해보고 싶었다. 그런 상태를 만들고 싶어서 내 입장에서 공을 들였다. 그 라인이 가늘지만 끊어지거나 앞으로 완전히 튀어나오게 만들면 과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입장에서는 그 정도 균형을 유지해보고 싶었다.

뉴스엔 이민지 oing@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