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말인데도 포근한 날씨 왜? 첫눈 온다는 ‘소설’에 전국 비 소식

기민도 2022. 11. 22. 11: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첫눈이 내린다는 절기상 소설인 22일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22일 "강원영동과 경상권동해안, 제주도에는 오전부터 비가 시작되겠고, 오후부터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오겠다"고 밝혔다.

강원영동과 경북동해안에는 이날 밤부터 23일 아침까지 비가 시간당 20㎜씩 쏟아질 것으로 예보됐다.

경북동해안과 경북북동산지에 비가 많이 오는 곳은 강수량이 100㎜ 이상 올 것으로 예보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큰 추위 없는 늦가을 날씨가 이어지고 있는 21일 오후 시원한 커피음료를 손에 든 시민들이 광화문네거리를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첫눈이 내린다는 절기상 소설인 22일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22일 “강원영동과 경상권동해안, 제주도에는 오전부터 비가 시작되겠고, 오후부터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오겠다”고 밝혔다. 강원영동과 경북동해안에는 이날 밤부터 23일 아침까지 비가 시간당 20㎜씩 쏟아질 것으로 예보됐다. 두 지역과 제주에 비가 내릴 때 돌풍이 불고 천둥과 번개가 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비는 23일 오전에 대부분 그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강원영동과 경북동해안에서는 밤까지 비가 내리는 곳이 있고, 강원영서와 충북에는 낮에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을 전망이다.

예상 강수량(22∼23일)은 강원영동·경북동해안·경북북동산지 30~80㎜, 경북북부내륙·경남동해안·제주·울릉도·독도 10~40㎜, 중부지방(강원영동 제외)·호남·영남(경북동해안 등 제외)·서해5도 5~20㎜다. 경북동해안과 경북북동산지에 비가 많이 오는 곳은 강수량이 100㎜ 이상 올 것으로 예보됐다.

전국에 비가 내리지만 온도가 ‘뚝’ 떨어지지 않고 ‘이상 고온’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기상청은 “24일까지 온도가 평년(최저 -3~6도, 최고 8~15도)보다 높겠고, 특히 23일 아침 기온은 평년보다 5~10도가량 높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23일 아침 최저기온은 6~13도, 낮 최고기온은 13~20도, 24일 아침 최저기온은 1~10도, 낮 최고기온은 13~19도로 예보됐다.

지난 20일 오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남천교 인근에서 시민들이 산책하며 가을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

‘이상 고온’ 현상은 11월 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 기준으로 최저온도와 최고온도는 △25일(6도/15도) △26일(8도/12도) △27일(5도/13도) △28일(8도/14도) △29일(5도/11도) △30일(1도/5도) 등으로 예보됐다.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의 ‘우리나라 기후평년값’을 보면, 서울의 30년(1991∼2020년) 최저온도와 최고온도는 △25일(1.1도/9.1도) △26일(1도/8.8도) △27일(0.8도/8.5도) △28일(0.7도/8.3도) △29일(0.5도/8.2도) △30일(0.3도/8도)로 기록된 바 있다.

초겨울을 앞두고 이상 고온 현상이 벌어진 이유로는 북극 주변 소용돌이가 강한 상태(양의 북극진동)로 이어지면서 찬 공기가 북극에 갇혀 남하하지 못하는 점이 꼽힌다. 북극진동은 북극을 뒤덮은 찬 공기의 극소용돌이가 수일에서 수십일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한반도 남쪽으로 고기압이 자주 발달한 것도 기온을 올린 요인이다. 북반구에서는 고기압 가장자리에서 시계방향으로 바람이 분다. 우리나라 남쪽에 고기압이 통과하면 서쪽에서 동쪽으로 대기의 흐름이 원활해지는데 서풍의 출발지인 중국 내륙지역 기온이 평년보다 높다.

기민도 기자 key@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