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미국에 4조 투자해 배터리 양극재 공장 짓는다

안태호 2022. 11. 22. 11: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엘지(LG)화학이 4조원을 투자해 미국에 연 생산량 12만톤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짓는다.

엘지화학은 22일(현지시각)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서 테네시주와 양극재 공장 건설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 공장을 통해 연간 12만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엘지화학은 "테네시 공장에 새로운 공정 기술을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연간 생산량 12만톤…미국 내 최대 규모
LG화학 테네시 양극재 공장 위치. LG화학 제공

엘지(LG)화학이 4조원을 투자해 미국에 연 생산량 12만톤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짓는다.

엘지화학은 22일(현지시각)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서 테네시주와 양극재 공장 건설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엘지화학은 클락스빌 170만여㎡ 부지에 30억달러 이상을 단독 투자해 공장을 짓기로 했다. 이 공장을 통해 연간 12만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연간 고성능 순수 전기차 12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분량으로, 단일 공장으로는 미국 내 최대 규모이다.

내년 1분기 착공해 2025년 말 양산을 시작하고, 이후 2027년까지 연 생산량 12만톤 규모로 생산라인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엘지화학은 “테네시주는 미국 내 중동부에 위치해 고객사 납품과 원재료 수입을 위한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나고, 주 정부와 지방정부로부터 설비와 토지에 대한 재산세 감면 혜택 등을 받을 수 있다”고 부지 선정 배경을 밝혔다. 테네시주에는 제너럴모터스(GM)와 엘지에너지솔루션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Ultium Cells)의 배터리 공장도 있다.

테네시 양극재 공장 예상 조감도. LG화학 제공

테네시 공장에서는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 엔씨엠에이(NCMA,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를 생산한다. 엔씨엠에이 양극재는 에너지 밀도를 결정하는 니켈 함량을 높이면서 안정성이 높은 알루미늄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엘지화학은 “테네시 공장에 새로운 공정 기술을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양극재 생산 과정에서 열을 가하는 소성 공정 설계 기술을 고도화해 라인당 생산량을 연간 1만톤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활용해 모든 생산공정을 자동화하고 품질 분석·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공장 운영을 효율화시켜나갈 계획이다.

신학철 엘지화학 부회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전지 소재 시장과 글로벌 고객사 수요에 적극 대응하며 세계 최고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