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연기현 현황 소개 '연성지' 조명 학술대회 25일 열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 후기 세종시 전신인 충청도 연기현의 모든 것을 담은 '연성지'(燕城誌)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
세종시는 오는 25일 세종시민회관 대강당에서 충북대박물관, 역사실학회와 함께 '연성지의 역사적 가치 조명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연합뉴스) 이은파 기자 = 조선 후기 세종시 전신인 충청도 연기현의 모든 것을 담은 '연성지'(燕城誌)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
세종시는 오는 25일 세종시민회관 대강당에서 충북대박물관, 역사실학회와 함께 '연성지의 역사적 가치 조명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연성(燕城)은 연기(燕岐)의 별칭이다.
연성지는 책자 형태의 조선시대 연기현 읍지로, 1934년과 1967년 간행된 연기지에 1824년(순조 24년)에 읍지가 간행됐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뤄 그 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 지방군현에서 만들어진 읍지가 중앙정부에서 어떻게 정리돼 다시 엮어지는지를 알려주는 증거로, 조선 후기 세종시 일대의 역사와 문화, 자연환경, 제도 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연성지의 문화적·학술적 가치를 인정해 최근 '세종시 유형문화재 지정'을 예고한 상태다.
학술대회에서는 연성지 수록 내역과 편찬 시기, 연성지의 방리(坊里)와 지명 고찰, 연성지에 나타난 인구와 부세(賦稅) 현황, 연성지에서 나오는 연기현 세거 성씨와 인물, 연기현 경관구조와 연성지의 역사 지리 등에 대한 전문가의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이어 종합토론에서는 한국사 전공 대학교수와 세종향토사연구소 위원 등 10명이 주제발표 내용을 놓고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누게 된다.
안종수 문화예술과장은 "이번 학술대회의 내용을 연성지의 박물관 전시와 관리를 위한 학술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sw21@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2m 높이 '돈탑' 쌓아 놓고 111억원 보너스 쐈다
- 투신 시도 여성 구조 50분 만에 재투신…경찰 대응 두고 논란
- "성폭행 친오빠와 한집에"…가해자 지목된 20대 2심도 무죄
- 고교생 실종사건으로 中서 청소년 정신건강관리 자성론
- '깐부' 오영수 첫 재판 "손잡은 건 있지만…추행은 안 했다"
- 바이포엠 "심은하 가짜 에이전트에 속아…대역과 통화까지"
- '73만 원' 미개봉 1세대 아이폰 경매에…예상가 6천만원
- 조국, 실형 선고에 찡그리며 한숨…"혐의 8~9개는 무죄"
- 미국 본토 상공 침투해 휘젓고 다닌 中 정찰풍선…"전투기 출격"
- 중국서 빵 사먹은 초등생 독극물 중독 사망…생산업체 8명 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