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좋은 교육은 밥상 차려 먹으며 이야기 나누는 것”
이호재 기자 2022. 11. 22.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하동군에 사는 오인태 시인(60·사진)은 저녁이면 손수 밥상을 차린다.
"직업이 교사다 보니 경남 거창군과 남해군, 하동군 등에서 가족과 떨어져 떠돌이 생활을 많이 했어요. 덕분에 여러 고장 제철 음식을 맛보는 즐거움도 있었죠. 한국인은 인사말로 '밥이나 먹자'고 하잖아요? 음식을 차린 뒤 친구들에게 같이 밥 먹자란 인사를 건네고 싶었습니다." 책에는 오 시인이 2012년부터 차린 수천 개의 밥상 가운데 52개를 골라 이에 대한 단상을 정리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밥상머리 인문학’ 펴낸 오인태 시인
손수 차린 밥상 52개 골라 단상 정리
손수 차린 밥상 52개 골라 단상 정리
경남 하동군에 사는 오인태 시인(60·사진)은 저녁이면 손수 밥상을 차린다.
씨감자를 쪼개 넣고 바지락을 듬뿍 넣은 뒤 쑥을 올리면 밥 한 그릇은 뚝딱 비울 수 있는 바지락감자쑥국 완성. 따끈한 밥과 함께 두릅을 데쳐 초장에 찍어 먹으면 금상첨화다.
그런데 어쩐지 오 시인은 행복하다가도 밥상 앞에서 울컥 목이 멘다. 씨감자가 귀했던 어릴 적 보릿고개도 떠오르고, 혼자 밥 먹는 것도 서글퍼서다. 그럴 때마다 오 시인은 차린 밥상을 찍어 소셜미디어에 올리며 글도 썼다. 오늘 난 이렇게 밥상을 차려 먹었다고. 떨어져 있더라도 함께 밥 먹는 것처럼 함께 살아가자고.
지난달 에세이 ‘밥상머리 인문학’(궁편책)을 펴낸 오 시인은 10일 전화 인터뷰에서 “멀리 사는 친구들과 함께 밥 먹는 기분을 느끼고 싶어 2012년부터 소셜미디어에 저녁 밥상을 찍어 올렸다”고 했다. 1991년 등단한 오 시인은 36년 동안 객지를 떠돌며 초등학교 교사와 장학사 등으로 일한 교육자이기도 하다.
“직업이 교사다 보니 경남 거창군과 남해군, 하동군 등에서 가족과 떨어져 떠돌이 생활을 많이 했어요. 덕분에 여러 고장 제철 음식을 맛보는 즐거움도 있었죠. 한국인은 인사말로 ‘밥이나 먹자’고 하잖아요? 음식을 차린 뒤 친구들에게 같이 밥 먹자란 인사를 건네고 싶었습니다.”
책에는 오 시인이 2012년부터 차린 수천 개의 밥상 가운데 52개를 골라 이에 대한 단상을 정리했다. 결을 살려 찢은 송이를 넉넉히 넣어 송잇국을 끓이곤, 호박잎으로 겹겹이 싸서 송이를 구워주던 아버지의 사랑을 회고한다. 멸치를 우려 낸 뒤 다진 마늘, 쪽파, 통깨, 고춧가루를 넣고 양념장을 만들어 올린 잔치국수를 차려낸 뒤 잔치국수 먹으니 잔칫날이라고 너스레 떤다. 개다리소반 위에 소담하게 올린 밥상을 보다 보면 오 시인의 진솔한 마음이 전해진다.
“혼자 밥상을 차리다 보면 들에서 일하다 돌아와 앞치마를 두르고 서둘러 저녁 밥상을 차리던 어머니가 생각나요. 어머니를 보면서 사랑을, 인생을 배웠죠. 함께 밥을 먹으며 두런두런 얘기 나누던 옛날처럼 밥상을 매개로 공동체 의식도 되돌아보고 싶었습니다.”
오 시인은 현재 전교생이 35명인 하동군 묵계초 교장으로 아이들과 어울려 살아가고 있다. 요즘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뭐냐고 물으니 그는 다시 밥상 얘기를 꺼내 들었다.
“아이들을 위한 가장 좋은 교육은 밥상을 차려주고 함께 밥 먹으며 이야기 나누는 겁니다. 아이들에게 다른 것보다 먼저 아침밥부터 챙겨주세요.”
씨감자를 쪼개 넣고 바지락을 듬뿍 넣은 뒤 쑥을 올리면 밥 한 그릇은 뚝딱 비울 수 있는 바지락감자쑥국 완성. 따끈한 밥과 함께 두릅을 데쳐 초장에 찍어 먹으면 금상첨화다.
그런데 어쩐지 오 시인은 행복하다가도 밥상 앞에서 울컥 목이 멘다. 씨감자가 귀했던 어릴 적 보릿고개도 떠오르고, 혼자 밥 먹는 것도 서글퍼서다. 그럴 때마다 오 시인은 차린 밥상을 찍어 소셜미디어에 올리며 글도 썼다. 오늘 난 이렇게 밥상을 차려 먹었다고. 떨어져 있더라도 함께 밥 먹는 것처럼 함께 살아가자고.
지난달 에세이 ‘밥상머리 인문학’(궁편책)을 펴낸 오 시인은 10일 전화 인터뷰에서 “멀리 사는 친구들과 함께 밥 먹는 기분을 느끼고 싶어 2012년부터 소셜미디어에 저녁 밥상을 찍어 올렸다”고 했다. 1991년 등단한 오 시인은 36년 동안 객지를 떠돌며 초등학교 교사와 장학사 등으로 일한 교육자이기도 하다.
“직업이 교사다 보니 경남 거창군과 남해군, 하동군 등에서 가족과 떨어져 떠돌이 생활을 많이 했어요. 덕분에 여러 고장 제철 음식을 맛보는 즐거움도 있었죠. 한국인은 인사말로 ‘밥이나 먹자’고 하잖아요? 음식을 차린 뒤 친구들에게 같이 밥 먹자란 인사를 건네고 싶었습니다.”
책에는 오 시인이 2012년부터 차린 수천 개의 밥상 가운데 52개를 골라 이에 대한 단상을 정리했다. 결을 살려 찢은 송이를 넉넉히 넣어 송잇국을 끓이곤, 호박잎으로 겹겹이 싸서 송이를 구워주던 아버지의 사랑을 회고한다. 멸치를 우려 낸 뒤 다진 마늘, 쪽파, 통깨, 고춧가루를 넣고 양념장을 만들어 올린 잔치국수를 차려낸 뒤 잔치국수 먹으니 잔칫날이라고 너스레 떤다. 개다리소반 위에 소담하게 올린 밥상을 보다 보면 오 시인의 진솔한 마음이 전해진다.
“혼자 밥상을 차리다 보면 들에서 일하다 돌아와 앞치마를 두르고 서둘러 저녁 밥상을 차리던 어머니가 생각나요. 어머니를 보면서 사랑을, 인생을 배웠죠. 함께 밥을 먹으며 두런두런 얘기 나누던 옛날처럼 밥상을 매개로 공동체 의식도 되돌아보고 싶었습니다.”
오 시인은 현재 전교생이 35명인 하동군 묵계초 교장으로 아이들과 어울려 살아가고 있다. 요즘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뭐냐고 물으니 그는 다시 밥상 얘기를 꺼내 들었다.
“아이들을 위한 가장 좋은 교육은 밥상을 차려주고 함께 밥 먹으며 이야기 나누는 겁니다. 아이들에게 다른 것보다 먼저 아침밥부터 챙겨주세요.”
이호재 기자 hoh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남욱 “천화동인 1호에 이재명 시장실 지분”
- [속보]尹, YS 7주기 묘소 참배 “巨山의 큰정치·바른정치 되새길 때”
- 6개월 만에 중단된 도어스테핑… 尹 “MBC 정파적 보도” 野 “불통”
- 김용, 유동규에 “檢출석 말고 산에 열흘 숨어라”… 정진상은 “개인비리로 몰아 선거 밀어붙
- [단독]“권순일, 변호사 개업땐 국민적 비난 따를것”… 변협, 등록 신청철회 재요구
- [단독]한국형 사드, 미사일 요격시험 성공
- 日-中의 對韓 직접투자액, 최근 5년 ‘반토막’
- 1주일만에 다시 7만, 위중증 나흘째 400명대…추가접종률 6%
- 최성범 소방서장 “구조 몰두해 2단계 발령 못했다”
- 전자발찌 차고 미성년자 성추행 시도한 30대 실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