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문화예술의 전당 추진 시동, 관건은 부산대 유휴지 확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양산시가 20년 이상 방치 중인 부산대 양산 캠퍼스 유휴부지에 가칭 '양산 문화예술의전당' 건립 타당성 용역을 발주하면서 유휴부지 개발을 통한 지역 발전과 문화인프라 확충이 가능할지 주목된다.
나동연 양산시장은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에 문화예술의전당이 들어서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돼 시민은 물론 부산대 학생 등 구성원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며 "또 이 시설이 마중물 역할을 해 20년 넘게 방치된 유휴지 개발이 탄력을 받고 인근 증산신도시를 비롯한 물금신도시 전체 상권이 활성화되고 신도시 규모가 커지는 등 파급 효과가 엄청나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 내년 5월까지 사업 용역 계획
부지 소유 교육부 등 승인 필요
1600억 원 규모 재원 마련도 과제
경남 양산시가 20년 이상 방치 중인 부산대 양산 캠퍼스 유휴부지에 가칭 ‘양산 문화예술의전당’ 건립 타당성 용역을 발주하면서 유휴부지 개발을 통한 지역 발전과 문화인프라 확충이 가능할지 주목된다.
하지만 부지 매입비 등 총 1600억 원의 사업비가 필요한 데다 부지 소유자인 교육부와 기획재정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의 승인을 받아야 해 사업 착공까지 풀어야 할 난제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21일 양산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양산 문화예술의전당이 건립에 따른 전문기관 용역에 들어갔다. 용역 기간은 내년 5월까지로 부지 타당성 및 규모의 적절성, 경제성 평가 등이 주요 내용이다. 건립 예정지는 물금신도시 내 부산대 양산캠퍼스 유휴부지로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에 2000석의 공연장, 전시실 등을 갖춘 대규모 문화시설이다. 도·시비 등 공사비 1100여억 원이 투입된다. 시는 내년 타당성 승인이 나면 오는 2025년 착공 후 2026년 말 준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이 부지는 교육·연구시설 용도로만 개발을 할 수 있었으나 2020년 3월 국유재산법 개정으로 지자체가 국유지 중 유휴부지에 문화 또는 생활체육시설 설치 등이 가능해지면서 유휴부지 개발의 전기가 마련됐다.
하지만 실제 건립까지 난제가 많다. 우선 2만 ㎡ 규모의 부지를 확보해야 하는데, 부산대 양산캠퍼스가 자리한 물금신도시는 토지 가격이 3.3㎡당 평균 800만 원을 넘어 부지 매입비만 480억 원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공사비를 포함하면 총사업비가 1600억 원가량 필요하다. 재원 대부분을 마련해야 하는 시로서는 큰 부담이다. 매입 과정도 쉽지 않다. 부지 소유자인 교육부와 부산대는 물론 기획재정부의 승인과 물금신도시 사업 시행자인 LH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부지 용도 변경 및 매각과 관련해 중앙부처가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양산시는 관련 부지 매입과 장기 임대 방식으로 시설을 지어 부산대 측과 공동 사용하는 방안 등을 논의 중이다. 현재 유력한 안인 장기 임대 방식은 막대한 토지 매입비 부담을 덜고, 공동 사용 방식이어서 부산대 구성원과 교육부 등 중앙부처를 설득하는데도 명분이 있다는 판단이다. 나동연 시장은 “부산대 측과 접촉해 문화예술의전당을 부산대 양산캠퍼스에 건립하는 데 교감하고 세부 사항을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조만간 설립될 혁신사업추진단의 문화예술의전당 건립 전담팀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의와 사업 진행에 나설 계획이다.
양산시는 문화예술의전당 건립이 가시화하면 오래 방치 중인 부산대 양산캠퍼스 유휴지 70만 ㎡(전체 110 ㎡) 개발에 물꼬가 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는 일부만 대학병원과 대학 부지로 활용되고 나머지 3분의 2가량은 미개발지로 남았다. 이에 따라 인근 증산신도시 상가의 60%가량이 공실로 남아 있는 등 물금신도시 전체 발전의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나동연 양산시장은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에 문화예술의전당이 들어서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돼 시민은 물론 부산대 학생 등 구성원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며 “또 이 시설이 마중물 역할을 해 20년 넘게 방치된 유휴지 개발이 탄력을 받고 인근 증산신도시를 비롯한 물금신도시 전체 상권이 활성화되고 신도시 규모가 커지는 등 파급 효과가 엄청나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