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40조 벌었는데 예금금리 인상 자제령, 왜?

안보겸 2022. 11. 21. 19:57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금융당국이 은행들에게 예금 금리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대출금리가 아닌 예금금리를 말이죠.

대출 이자는 오르는데, 예금 금리 안 오르면 예대마진으로 은행만 배불리는 것 아니냐 생각이 드는데요.

왜 그런 당부를 했는지 안보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시중은행 예금 최고 금리는 14년 만에 연 5%대를 넘어섰습니다.

5대 시중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달 47조 원 넘게 불어났을 정도.

[박은영 / 경기 성남시]
"제가 사회 초년생이라 모아둔 돈은 많이 없지만 시중은행의 예금·적금 금리가 계속 오른다 하니까 저도 가입해서 돈을 불려야 할 지 고민입니다."

이런 흐름이 계속되자 최근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예금금리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돈이 시중은행의 고금리 예금에 쏠리면서 보험과 저축은행 등의 유동성이 급격히 줄기 때문.

더 큰 문제는 대출금리도 따라 오른다는 겁니다.

맡은 돈에 이자를 내주는 예금금리가 오르면 빌려준 돈에 대해 받는 대출금리도 같이 올릴 수밖에 없어섭니다.

은행이 올 3분기까지 얻은 이자 이익은 사상 최대치인 40조 6천억 원에 달합니다.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대출자 부담이 금융시장의 위험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예대금리차(예금과 대출 금리 차)의 확대를 제어하기 위한 노력은
금리상승기에 필요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시중은행들이 앞다퉈 예금금리를 올리면서 1%포인트를 훌쩍 넘었던 은행권의 예대금리차는 지난달 소폭 줄었습니다.

5대 시중 은행 중 NH농협은행만 1%p를 넘겼고, 나머지 은행들은 1%p 미만이었습니다.

채널A 뉴스 안보겸입니다.

영상편집 : 차태윤

안보겸 기자 abg@ichannela.com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