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도어스테핑 중단… "불미스러운 일 발생, 취지 살리기 어려워"

김미경 2022. 11. 21. 18: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언론단체·야당 "언론 길들이기"
여당 "MBC 탓" 중단 조치 지지
유승민은 "소통 사라질까 우려"
순방 성과에도 尹지지율 내림세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6개월동안 꾸준히 이어온 '도어스테핑'(출근길 약식회견)을 중단했다.

'바이든 자막'으로 촉발된 MBC와의 갈등이 대통령 전용기 탑승 거부에 이어 도어스테핑 고성전으로 번지는 등 논란이 커지자 도어스테핑 중단이라는 초강수를 꺼내든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윤 대통령은 누구보다 도어스테핑에 의지가 강했다. 그렇게 6개월동안 언론인과 누구도 해본 적 없는 도어스테핑 제도를 만들어왔다"며 "그러나 (대통령에게) 고성을 지르는 등 불미스러운 일로 인해 본래위 취지를 살리기 어려워졌다는 판단이 들었고, 오히려 국민과의 소통을 저해하는 장애물이 될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고 도어스테핑 중단 이유를 밝혔다.

대통령실은 원래 MBC에 대한 출입 취소·정지 등 후속 징계를 원했으니 대통령실 출입기자단과의 이견으로 성사되지 않았다.

대통령실은 결국 '근본적인 재발방지 대책' 없이는 도어스테핑을 하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돌연 중단했다. 지난 5월11일 윤 대통령의 용산 대통령실 첫 출근길부터 시작된 도어스테핑은 지난 18일까지 총 61차례 이어졌으나 6개월 만에 기약없이 중단됐다. 도어스테핑 등을 총괄해온 김영태 대외협력비서관은 '도의적 책임'을 표하며 이날 사의를 표했다.

대통령의 일방적인 소통 단절 조치에 언론과 정치권들은 일제히 반발했다. 한국기자협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대통령실의 대응은 누가 봐도 눈엣가시 같은 비판 언론사에 대한 집요한 공격으로 비춰질 뿐만 아니라 특정 언론사를 본보기로 삼아 언론을 길들이려는 의도"라며 "도어스테핑 중단을 교묘하게 MBC의 잘못으로 돌려 출입기자들 사이를 이간질하고 갈등을 유발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도어스테핑 중단을 '몰상식한 언론탄압'이라고 몰아붙였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이 자초한 논란을 언론 탓으로 돌리고 헌법상의 언론취재마저 탄압하니 국민이 가만히 있겠나"라며 "MBC기자와 비서관이 공개 설전을 벌인 직후 경호와 보안을 이유로 가림막을 세우고 도어스테핑마저 중단하려 하니 참으로 점입가경"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여당이 대통령을 철벽치고, 대통령실은 가벽을 치니 대통령의 눈과 귀를 틀어막는 큰 절벽이 생겼다"고 주장했다. 고민정 민주당 언론자유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고 "앞으로 불편한 질문은 하지 말란 다른 모든 언론을 향한 직접 선언"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집권 여당 지도부 회의에서는 기업의 MBC에 대한 광고 중단 요구가 거리낌 없이 나오고,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여당 간사(박성중 국민의힘 의원)는 불편했던 YTN 보도들을 일일이 거론하며 우리 편도 아니고 민주당 편에 선 YTN도 반성해야 한다는 상식 이하의 발언을 눈치도 보지 않고 한다"면서 "보도지침과 언론사 통폐합을 주도한 독재 정권에서도 공개적으론 하지 못했을 말을 스스럼없이 하는 게 놀라울 따름"이라고 지적했다.

여당 내에서는 의견이 갈렸다. 대체로 윤 대통령의 조치를 지지했으나 일부 비판도 나왔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윤 대통령은 언론과의 소통 강화를 역대 어느 대통령, 어느 정부보다 중요시했기에 취임 초부터 이전의 청와대에선 시도조차 없었던 도어스테핑을 진행하고 현안에 대한 대통령의 구상을 소상히 답변해 왔다"며 "그러나 MBC는 지금까지 일련의 모든 논란에도 사과 한마디조차 없다"고 MBC책임론을 제기했다. 양금희 수석대변인도 "최근 출입기자의 (대통령 참모와) 설전사태가 '국민과 열린 소통'이라는 도어스테핑의 취지를 저해시키며 중단을 초래하게 됐다"며 "'소통의 장'을 '아수라장'으로 만든 MBC, 언론의 책임을 돌아보길 바란다"고 거들었다. 다만 윤 대통령에게 비판적인 유승민 전 의원은 "누가 하라고 시킨 것도 아니고, 대통령 스스로 '국민과의 열린 소통'을 위해 시작한 일인데 국민과의 소통이 사라질까 우려된다"고 걱정했다.

윤 대통령의 초강수 전략에 민심이 어떻게 응답할지는 미지수다. 윤 대통령은 최근 동남아 순방에서 한미·한일·한중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선택적 언론관' 논란에 발목이 잡혀 지지율이 다시 내림세로 돌아섰다. 리얼미터가 이날 공개한 여론조사(미디어트리뷴 의뢰, 조사기간 14∼18일, 전국 성인 2516명 대상,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2.0%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를 보면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33.4%, 부정평가는 63.8%였다. 긍정평가는 1.2%포인트 하락하고, 부정평가는 0.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18일 나온 한국갤럽 여론조사(조사기간 15~17일, 전국 성인 남녀 1002명 대상,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에서도 윤 대통령에 대한 긍정평가는 직전조사보다 1%포인트 하락한 29%, 부정평가는 1%포인트 하락한 61%로 집계됐다.

김미경·임재섭기자 the13oo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