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MBC 탓"…野 "좀스러워"

이유정 2022. 11. 21. 18: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야는 21일 출근길 회견(도어스테핑)을 중단한 대통령실의 결정을 놓고 거센 공방을 벌였다.

여당은 MBC가 도어스테핑 중단의 원인을 제공했다며 대통령실을 엄호했고, 야당은 대통령실이 언론을 탓하며 좀스러운 대응을 하고 있다고 맞섰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도어스테핑 잠정 중단은 MBC가 초래한 것"이라며 "MBC는 공영방송이지만 지금까지 일련의 모든 논란에도 사과 한마디조차 없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어스테핑 중단' 거센 공방
與 당권주자 'MBC 때리기' 가세
야권 "무능을 언론 탓으로 돌려"

여야는 21일 출근길 회견(도어스테핑)을 중단한 대통령실의 결정을 놓고 거센 공방을 벌였다. 여당은 MBC가 도어스테핑 중단의 원인을 제공했다며 대통령실을 엄호했고, 야당은 대통령실이 언론을 탓하며 좀스러운 대응을 하고 있다고 맞섰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도어스테핑 잠정 중단은 MBC가 초래한 것”이라며 “MBC는 공영방송이지만 지금까지 일련의 모든 논란에도 사과 한마디조차 없다”고 말했다. 지난 9월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뉴욕 방문 당시 불거진 MBC의 자막 보도 논란에서부터 최근 대통령실 참모와 공개 설전을 벌인 MBC 기자의 언행 등을 싸잡아 문제 삼았다.

당권 주자들도 비판에 가세했다. 권성동 의원은 SNS에 “MBC는 대통령 순방 중 발언을 자막으로 조작하고, 백악관에 왜곡된 메일을 보내 동맹을 이간질하려고 했다”며 “반성과 사과를 해도 모자랄 판에 운동권 점거 농성에서나 볼 수 있는 ‘샤우팅’을 했다”고 비난했다. 김기현 의원도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의 고성 지르기, 슬리퍼 난동으로 대통령과의 소통 창구를 배설장처럼 혼탁하게 했다”고 날을 세웠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선 “권위적인 발상이고 좀스러운 대응”이라며 도어스테핑 중단을 비판했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최고위원 회의에서 “무능한 실정의 책임을 언론과 야당 탓으로 돌리는 파렴치한 정치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덩치는 남산만 한데 좁쌀 대통령이라는 조롱이 많다”고 비아냥댔고, 박찬대 최고위원은 “국민의 귀와 눈을 틀어막으려는 독재적 발상이 아니고서야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야당은 도어스테핑 중단에 앞서 가림벽을 설치한 것도 문제 삼았다. 안호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국민과의 소통에 벽을 치고 있다. 삐뚤어진 언론관은 가림벽으로 가려지겠지만 국민과의 소통은 더욱 멀어질 것”이라고 직격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