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 송전 제한은 외화 낭비, 스마트그리드 활용을

2022. 11. 21. 16: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독자칼럼 ◆

원자력이나 석탄 같은 연료비가 싼 발전소는 주로 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생산된 전력은 송전선을 이용해 수요가 많은 수도권으로 실어 나른다. 그런데 송전선은 인근 지역 주민과의 갈등으로 인해 건설이 어려워 늘 용량이 부족하다. 최근 동해안에 용량 1GW인 강릉에코1 발전기, 용량 1.4GW인 신한울 1호기 발전기가 시운전에 들어갔으나 송전선로가 모자라서 1.2GW만큼은 발전기를 지어 놓고도 돌리지 못하는 지경이다. 송전선로는 불시에 일부 선로에 고장이 생겨도 전력 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여유를 두고 운영한다.

이는 전력계통 특성상 수요와 공급이 항상 균형을 이뤄야 하는데, 일정 전력량 이상이 대비할 시간적 여유 없이 일시에 공급 중단되면 대규모 정전 현상이 발생해 엄청난 재앙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동해안에서 수도권으로 송전 제약이 1.2GW만큼 연중 발생한다면 계통한계가격이 ㎾h당 200원이 넘는 지금 상황에서 동해안의 원자력이나 석탄 대신 수도권 발전기를 돌릴 경우 대략 계산해도 연간 1조원 이상 연료비가 추가로 소요된다. 전부 해외로 나가는 돈이다.

10년에 한 번도 일어나지 않을 정전에 대비해 그 많은 돈을 계속 사용하기보다는 혹시 정전이 되면 즉시 전기를 차단해 수요를 줄이는 조건을 수용하는 일부 고객에게 평상시에 적정 금액을 지급하고 양해를 구하는 게 좋다. 상시 1㎾를 사용하는 고객에게 10년에 한 번도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정전을 감수할 경우 연간 100만원의 이득이 생긴다고 하면, 감수하겠다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원하는 고객만 전기를 차단하고 나머지에게는 정상 공급된다. 정보통신기술(ICT)이 워낙 발달한 현재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문제도 아니다. 수요 관리 외에 기존에 설치돼 있는 고객들의 비상전원공급장치를 활용해 수도권에 발전력을 일시 공급하는 방법도 강구할 수 있다. 지금의 연료비 수준이면 신규로 전력저장장치(ESS·㎿당 투자비 6억~7억원)를 설치하더라도 1년이면 투자비가 회수된다. 이 모두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에서 구현 가능한 방법이다.

앞으로 스마트그리드 기법이 좀 더 광범위하게 적극적으로 활용돼 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나고 에너지 신산업도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장재원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상근 부회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