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대 이산화탄소 저장소 만들고 수소공급 늘린다

문다영 2022. 11. 21. 14: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우리나라에 세계 최대 규모의 이산화탄소 저장소를 만들고 수소 공급을 대폭 늘린다.

CCS는 발전·산업체 등의 화석연료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안전하게 육상 또는 해양 지중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화석연료에 수소나 암모니아 같은 무탄소 연료를 혼합·대체 사용하여 발전해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기술인 '무탄소 전력공급' 분야 기술 혁신 방안도 이번 로드맵에 포함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 기술전략 로드맵 의결…무탄소 전력공급도 점진적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 =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우리나라에 세계 최대 규모의 이산화탄소 저장소를 만들고 수소 공급을 대폭 늘린다.

또 화력 발전 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연료의 사용 비율을 지속해서 높이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제5차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을 심의·의결했다. 지난달 26일 출범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발표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 전략'의 후속 조치다.

먼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분야에서는 지난해 발표된 대로 동해가스전에서 탄소 저장을 위한 중규모 CCS 통합실증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CCS는 발전·산업체 등의 화석연료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안전하게 육상 또는 해양 지중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과기정통부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저장소를 운영하는 국가로 도약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장소 규모는 2030년 연 400만 톤, 2050년 연 1천500만 톤으로 설정했다.

아울러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경제적으로 포집해서 안전하게 저장하거나 경제적 가치를 지닌 제품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2025년까지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업종을 중심으로 소규모 실증을 거친 뒤, 운영 실적을 파악해 2030년까지 준상용급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

정부는 또 수소 연간 생산·공급 목표로 제시한 2030년 194만t, 2050년 2천790만t을 맞추고자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국내 수소 생산 역량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도록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다양한 방식에 대한 소규모 실증으로 최적의 그린 수소 생산 모델을 선별한 뒤 2028년까지 상용급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

해외에서 생산된 청정수소를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대용량 저장, 장거리 운송, 국내 하역 및 공급 기술을 개발하는 동시에, 수소를 대량 보급하기 위한 기체 운송 기술을 고도화하고 수소 전용 고강도 배관망 등의 기술 확보에 나선다.

탄소중립 산업 가치 사슬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화석연료에 수소나 암모니아 같은 무탄소 연료를 혼합·대체 사용하여 발전해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기술인 '무탄소 전력공급' 분야 기술 혁신 방안도 이번 로드맵에 포함됐다.

정부는 2030년까지는 암모니아 혼소 발전을 전체 발전의 3.6% 수준으로 확대하고, 2050년에는 수소를 활용한 무탄소 가스터빈을 전체의 21.5%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을 하고 있다.

이에 석탄발전에서 석탄 일부를 암모니아로 대체하는 비율을 2027년 20%, 2030년 50%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또 LNG 발전에서 LNG를 수소로 대체하는 기술을 확보하여 '28년에는 실증 사업까지 연계해 나갈 계획이다.

수소차는 2030년까지 총 450만대를 보급한다는 목표 아래에 차세대 전지 차량 실증과 배터리 화재 억제 기술 개발을 병행한다.

CCUS 분야 산업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로드맵은 지난 10일에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표된 '수소 기술 미래 전략'과도 연계됐다. 방향성은 각각 조금씩 다르지만 새 정부의 탄소중립 기술개발 방향을 담은 청사진이 약 2주 간격으로 잇달아 발표되는 셈이다.

이번 로드맵은 수소 공급, 무탄소 전력공급, 친환경차 분야와 더불어 탄소 감축 핵심 수단이 되는 CCUS 분야 기술의 현장 구현을 목표로 짜였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로드맵은 향후 국가 연구개발 투자 방향, 국가 연구개발 예비타당성 심사 등에 우선적으로 활용된다"며 "향후에도 기술 및 정책 상황변화 등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재설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zer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