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언론관 논란속 대통령실 로비에 가벽

김미경 2022. 11. 20. 20: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MBC의 갈등이 '선택적 언론관'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출근길 약식회담(도어스테핑) 중단을 포함한 고강도 대책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여 갈등이 더욱 심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이 관계자는 "도어스테핑은 역대 정부에서 실행된 적 없는 국민과의 소통 방식"이라며 "윤 대통령이 도어스테핑에 얼마나 애정을 갖고 있는지는 취재진 여러분이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해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마친 뒤 집무실로 향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MBC의 갈등이 '선택적 언론관'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출근길 약식회담(도어스테핑) 중단을 포함한 고강도 대책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여 갈등이 더욱 심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20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매번 기자들과 출근길 문답을 주고 받는 대통령실 1층 로비에 가벽을 설치 중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 1층이 완전히 공개돼 있다보니 외교적으로나 대통령의 비공개 일정에 (보안상) 필요한 부분이 있어서 가벽을 설치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공교롭게도 윤 대통령의 언론관 논란이 불거진 시점에 가벽이 설치돼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윤 대통령은 동남아 순방을 떠나기 직전 MBC를 대통령 전용기에 태우지 않겠다고 통보하면서 언론계의 반발을 샀다. 지난 18일 귀국 후 처음으로 가진 기자들과의 출근길 약식회견에서 또 한번 MBC에 대해 한미동맹을 가짜뉴스로 이간질하려 한 '악의적인 행태'를 보였다고 말해 갈등이 다시 수면으로 떠올랐다. MBC 취재진은 윤 대통령에게 직접 항의했고, 이를 제지하는 대통령실 모 비서관과 고성을 주고받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난주 MBC 취재진과 비서관의 말싸움이 가벽 설치에 직접 연관돼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으나 "그런 자리에서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고, 이 사안을 (대통령실이)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특히 "향후 도어스테핑을 포함 재발방지 등 이 사안을 어떻게 해소할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 없다"고 덧붙였다. 도어스테핑을 중단하는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도 "결정된 바 없다"고만 답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도어스테핑은 역대 정부에서 실행된 적 없는 국민과의 소통 방식"이라며 "윤 대통령이 도어스테핑에 얼마나 애정을 갖고 있는지는 취재진 여러분이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언론의 대립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윤 대통령의 언론관 논란이 불거진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9월 국민의힘 예비후보 신분이던 윤 대통령은 대선 기간 중 '고발 사주 의혹'이 불거지자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정치 공작을 하려면 인터넷매체나 재소자, 의원 면책특권 뒤에 숨지 말고 국민이 다 아는 메이저 언론을 통해 누가 봐도 믿을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사람을 통해 문제를 제기했으면 좋겠다"고 발언해 언론 편향성을 드러냈다는 비판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윤 대통령이 헌법적 가치인 '언론의 자유' 보장과 '언론의 책임' 사이에 균형감을 찾지 않으면 쉽게 출구전략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한다. 김형준 명지대 특임교수는 "언론의 자유는 헌법적 가치이고, 대통령 본인이 자유를 중시하고 있다"며 "그러나 언론의 왜곡보도도 자유를 보장해야 하느냐는 문제제기를 대통령이 직접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통령이 '언론의 자유에는 책임이 필요하다'고 프레임을 잡았다"면서 "언론에서도 '책임있는 역할을 하겠다', 대통령도 '언론의 비판보도 등 불편을 감수하고 인내하겠다'는 상호접근이 나오지 않는다면 당분간은 팽팽하게 갈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 대통령의 성향 상 자신의 발언이나 생각을 수정하기보다 자신에게 맞추는 것을 선호한다"면서 "대통령실 측에서 출구전략을 마련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짚었다.

김미경·임재섭기자 the13oo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